철학 계간지 ‘철학과 현실’ 봄호…인류세 특집
인문사회학자·자연과학자가 본 인류세의 현실
인류에 의해 지구환경이 변하는 인류세는 시작되자마자 인류를 종말로 이끌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미국국립과학원(PNAS) 제공
미국국립과학원(PNAS) 제공
2010년대 들어 점점 심해지는 변덕스러운 기상현상은 다양한 과학 연구를 통해 밝혀지듯 인간의 활동에 의한 것이다. 그래서 현재의 시대를 ‘인류세’라고 규정하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교양 철학 계간지 ‘철학과 현실’ 봄호(136호)는 ‘인류세, 인류 생존의 갈림길’이라는 주제로 특별 좌담과 3편의 원고를 싣고 인간이 지구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연과학적, 인문학적으로 분석했다.
고태우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는 ‘시작하자마자 끝날지도 모르는 인류세’라는 글에서 “호모사피엔스는 홀로세라는 안정되고 온화한 지구의 기후 조건에 놀라울 만큼 잘 적응한 생물체이지만 자신이 조성하고 있는 지구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종이 되고 있다”며 “인류세의 서막을 열자마자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다”고 했다. 이어 “기후재앙과 생태계 파괴라는 파국의 시대에서 인류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구조적으로 사람과 자연을 착취하고 기후·생태 위기와 불평등을 일으키는 자본주의 자체를 근본적으로 변혁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상 기후 등 생존 기로에 선 인간
성장지상주의·자본주의 버릴 때 됐어“남성현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지구과학적 측면에서 인류세의 원인과 문제를 진단했다. 남 교수는 산업화 이후 급격한 과학기술 발전이 심각한 환경오염을 낳았지만 인간과 지구가 공존하려면 다시 과학기술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이 때문에 그는 “탈탄소 문명을 통한 생태중심주의가 필요하다”면서 지구를 잘 알아야 하기에 지구환경과학에서 그 첫걸음을 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이 공통으로 말하는 것은 현재 강조되는 성장지상주의, 자본주의 체제를 버리고 인간과 다른 생명체의 공존을 위해 모두가 약간의 불편함을 기꺼이 감수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점이다.
편집인인 이진우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명예교수도 권두언을 통해 “진화의 정점이라고 생각했던 인간이 스스로 진화의 과정을 변화시키려 하고 있으며 그 결과가 파국으로 다가올지 모를 기후변화와 사회적 불평등”이라고 지적하며 “이제 ‘인간이 없는 자연인가, 아니면 자연과 함께하는 인간인가’의 갈림길에서 선택해야 할 때”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