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연구진, 컴퓨터 비전기술로 성 편향성 정량화 성공
IMDb 제공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이병주 교수팀은 컴퓨터 비전기술을 이용해 헐리우드와 한국 상업영화 속에서 남성과 여성간 편향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11월에 열리는 소셜 컴퓨팅 분야 국제학회인 ‘컴퓨터 기반 협업 및 소셜 컴퓨팅 학회’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보통 영화에서 여성 등장인물의 편향성을 밝혀내는데는 ‘벡델 테스트’로 평가한다. 벡텔 테스트를 통과하면 남녀 주인공에 대한 편견이 적다는 평가를 받는데 이를 위해서는 영화에 이름을 가진 여성 인물이 두 명 이상 등장해야 하고 그 여성들이 서로 대화를 나누고 대화의 주제는 남성 등장인물과 관련이 없어야 한다는 3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연구팀은 벡텔 테스트가 여성의 대사만으로 판별해 시각적 묘사에 숨겨진 편견을 판별해 내지 못하고 여성 주인공이 혼자 극을 이끄는 영화에서는 적용하기 어렵다는데 착안했다.
연구팀은 2017~2018년에 개봉한 헐리우드 영화와 한국 영화 40편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영화는 24프레임(초당 24장의 사진을 찍는다는 의미)으로 찍히는데 연구팀은 이를 3프레임으로 변형시킨 뒤 얼굴감지 기술과 사물감지 기술을 활용해 등장인물들의 성, 감정, 나이, 크기, 위치와 함께 주인공과 등장한 사물의 종류와 위치를 확인하고 분석했다.
연구팀이 활용한 분석도구
카이스트 제공
분석 결과 벡델 테스트 통과여부를 떠나 8가지 지표로 볼 때 영화 대부분이 여성을 편향적으로 묘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주인공의 시간적 점유도는 남성보다 56% 정도 낮았고 평균 연령도 남성보다 79.1% 어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같은 특징은 한국영화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감정적 다양성 지표에서는 여성 캐릭터는 슬픔, 공포, 놀람 같은 수동적 감정이 많이 나타났지만 남성은 분노, 싫음 같은 능동적 감정이 더 많이 표현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변 물체의 빈도와 종류를 보면 남성은 자동차와 함께 등장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가구와 함께 나오는 비율은 여성이 남성보다 123.9%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병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영화에서 나타나는 성별 편향성을 정량적으로 보여줬다는데 의미가 크다”라며 “한국민 1인당 연간 평균 영화관람 횟수가 4.25회에 이르는만큼 영화 내 묘사가 관객들의 잠재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볼 수 있는 만큼 영화 제작시에 좀 더 신중하게 제작해야 할 것으로 본다”라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