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전문의 2910명 ‘펑크’… ‘전문의 중심병원’ 단계적 전환 불가피

내년 전문의 2910명 ‘펑크’… ‘전문의 중심병원’ 단계적 전환 불가피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4-05-22 00:37
수정 2024-05-22 06: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공의 미복귀로 전문의 시험 못 봐
급진적 추진 땐 몸값만 폭등 우려
“내년 병원당 전문의 2명 더 고용을”

이미지 확대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의료현장을 떠난 지 3개월이 경과한 가운데 20일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의료계에 따르면 3·4년 차 전공의 2910명은 내년에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이날까지 복귀해야 한다. 이날 이후에 복귀하게 되면 수련 기간을 채우지 못해 내년 전문의 시험을 응시할 수 없다. 2024.5.20 홍윤기 기자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의료현장을 떠난 지 3개월이 경과한 가운데 20일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의료계에 따르면 3·4년 차 전공의 2910명은 내년에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이날까지 복귀해야 한다. 이날 이후에 복귀하게 되면 수련 기간을 채우지 못해 내년 전문의 시험을 응시할 수 없다. 2024.5.20 홍윤기 기자
돌아오지 않는 전공의들로 인해 내년도 전문의 배출에 공백이 생길 가능성이 커지면서 정부의 ‘전문의 중심병원’ 전환 계획에도 속도 조절이 불가피하게 됐다.

내년 초 전문의 시험을 봐야 하는 3~4년차 레지던트 2910명이 수련 기간을 채우지 못해 응시 자격을 잃으면 전문의 배출이 1년간 중단된다. 정부 계획대로 40%에 육박하는 상급종합병원의 전공의 의존율을 절반으로 낮춰 전문의 중심병원을 만들려면 전공의의 빈자리를 채울 전문의가 필요한데 오히려 내년 전문의 2910명 공급에 차질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정부 관계자는 21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수련병원의 전공의 비율을 확 낮추면 병원들이 그만큼 전문의를 확보해야 하는데, 당장 구할 수 있는 전문의도 한정적인 데다 자칫 전문의 보수만 올리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어 점진적으로 추진하려 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예를 들어 우선 내년에 전공의 비율을 조금만 낮추면 전문의 2명 정도만 더 고용하면 된다. 의대 증원으로 배출된 의사가 진료 현장에 자리잡기 전까진 이런 식의 단계적 추진이 불가피하다”고 덧붙였다.

정부가 전문의 중심병원을 만들려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환자에게는 더 전문적인 의료 서비스를, 전공의에게는 수련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상급종합병원의 경증·외래·검사를 대폭 줄이는 한편 전공의 이탈로 이번 사태와 같은 의료 공백이 재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그러나 전공의 연봉은 평균 7000만원, 전문의 연봉은 2억~3억원으로 전문의를 많이 고용하려면 돈이 든다. 대형 병원들이 그간 전공의 노동력에 의존해 병원을 운영해 왔던 것도 수익 때문이었다.

정부는 전문의 중심병원 운영에 필요한 수가 지원을 병행할 방침이다. 일부에선 전공의가 의료 행위를 했을 때 병원에 주는 수가를 전문의의 절반으로 책정하자는 의견도 나온다. 그래야 병원들이 전공의 대신 ‘돈 되는’ 전문의를 채용하려 들 것이란 얘기다.
2024-05-22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