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 체크] 전파력 높은 ‘GH 그룹’ 바이러스 유행
7일 방역당국이 코로나19 바이러스 전파력이 매우 높은 ‘GH 그룹’ 바이러스가 국내에서 한창 유행 중이라는 결과를 내놓으면서 국민들 사이에 감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미국 연구진은 초기 바이러스에서 변이를 일으킨 GH 유형의 전파력이 6배 정도 높다고 추정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국내에서도 지난 5월 이태원 클럽발(發) 감염부터는 GH 유형의 바이러스가 대부분 발견되고 있다. 감염내과 전문의인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교수, 방지환 보라매병원 교수,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교수의 도움을 얻어 GH 유형과 관련한 우려들에 대해 사실 여부를 짚어 봤다.광주 지역 코로나19 확산으로 자가격리 대상자가 1000명을 훌쩍 넘어가자 7일 오전 북구청 3층에 마련된 ‘자가격리자 관리센터’에서 담당 공무원들이 자가격리자에게 전달할 마스크·체온계 등 방역 키트를 정리하고 있다.
광주 연합뉴스
광주 연합뉴스
A. 미국 연구진은 기존 바이러스보다 GH 유형에서 더 많은 바이러스가 배출되고,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전파시킬 우려가 크다고 ‘추정’을 한 것이다. 실험을 통해 GH유형의 전파력이 높다고 예상할 수는 있겠지만 이것이 실제로 사람 사이에 어느 정도로 확산되는지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우주 교수는 “GH 유형이 (이전과 비교해) 2.6~9.3배 증식을 잘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높은 농도의 바이러스가 배출된다는 뜻인데 이것을 확산 속도와 연관시키려면 임상연구가 추가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전 세계적인 유행 확산 역시 단순히 바이러스 변이 때문으로 보는 것은 논리적인 비약일 뿐”이라고 말했다. 엄중식 교수 역시 “(현재 확산세를 보면) 초기 전파보다 전파가 빠른 것으로 보이기는 하나 바이러스 자체가 그러한 전파력을 가진 건지, 나라마다 차이가 있는 방역체계의 문제인지는 자세히 들여다 봐야 한다”고 거들었다.
Q. 치명률은 낮은 건가.
A. 미국 연구진은 GH 유형의 중증도나 치명률이 이전과 비교해 더 높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만일 미국 연구진의 추정대로 바이러스 자체의 전파력이 크다면 중증도나 치명률도 낮을 것이다. 방지환 교수는 “바이러스는 대부분 전파력이 커질수록 치명률이 낮아진다. 미국 연구진도 이러한 가능성을 제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엄중식 교수는 “아직 중증도나 치명률 부분을 확인할 수 없지만 지난 5월 이태원 이전과 이후의 사망률이 큰 차이는 없다”고 덧붙였다.
Q. 바이러스 변이가 치료제나 백신 개발에 큰 영향을 주나.
A. 김우주 교수는 “변이 바이러스가 항체 치료제 개발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면서도 “앞으로 다른 변이가 추가될 수 있기 때문에 계속 추적할 필요는 있다”고 강조했다. 항체 치료제가 고치려고 하는 부분에서 변이가 계속 일어난다면 치료 효과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지금 시점에선 유의미한 변이를 확인할 수 없다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방지환 교수는 “얼마나 치료제에 영향을 줄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 치료제나 백신의 종류는 너무나 다양하다”면서 “다만 변이 바이러스를 목표로 한 항체 치료제는 효과가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20-07-08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