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응급으로 수술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동맥 박리가 형태에 따라 수수보다 약물치료가 더욱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서울아산병원 송재관(심장내과)·주석중·김준범(이상 흉부외과) 교수팀은 1999년부터 2011년까지 대동맥 박리로 병원을 찾은 환자 중 혈류의 역방향으로 대동맥 박리가 발생한 49명의 환자를 분석한 결과, 일부 환자의 경우 장기생존율에서 수술보다 약물치료가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특히 역방향 대동맥 박리 환자 중 특정 조건에 부합한 환자 16명에게 수술 대신 약물만으로 치료한 결과, 5년 생존율이 100%로 나타나 수술을 시행한 환자 33명의 5년 생존율인 81.2%보다 훨씬 높은 5년 생존율을 보였다.
의료팀은 이 과정에서 대동맥 박리 발생 당시 혈류가 안정적이며, 상행대동맥의 분리된 내강이 혈전으로 차 있고, 심장과 가까운 상행대동맥의 직경이 5.5cm 미만인 환자들에게는 약물 치료를 먼저 시행하는 조건을 적용했다.
이같은 임상연구 결과는 그동안 치료 지침이 정확히 정립되지 않았던 역방향 대동맥 박리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의료팀은 “약물로 치료한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이 수술환자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그동안 표본이 적어 실질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던 역방향 대동맥 박리 치료에서 특정 조건에 부합할 경우 약물치료가 훨씬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대동맥 박리란, 심장에서 인체 곳곳으로 혈액을 보내는 가장 큰 혈관인 대동맥의 내벽이 찢어지는 현상으로, 이 경우 혈액이 원래 흘러야하는 통로인 대동맥 진강이 아닌 내막과 중막 사이의 분리된 공간(가성 내강)으로 유입되게 되며, 이런 상황에서는 대동맥의 장축을 따라 대동맥 벽이 파열되는 매우 위험한 상태에 빠지기 쉽다.
이런 대동맥 박리가 발생할 경우 지금까지는 병변 위치에 따라 치료 지침이 달랐다. 대동맥 궁을 기준으로 삼아 심장과 가까운 상행대동맥 박리는 수술을, 복부 쪽으로 뻗은 하행대동맥 박리는 약물치료를 원칙으로 했지만 역방향 대동맥 박리는 마땅한 지침이 마련되지 않았다.
외형이 지팡이 손잡이처럼 ‘C’자형으로 구부러진 상부 대동맥은 혈액이 궁을 지나 위에서 아래로 흐르기 때문에 혈류와 같은 방향으로 혈관이 찢어지는 박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같은 이유로 역방향 대동맥 박리가 발생하기도 한다.
주석중 교수는 “대동맥 박리는 초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률이 급증하는 응급질환”이라면서 “흉부가 찢는 듯 것 같거나 혈압을 높일 정도의 심한 통증이 나타난다면 대동맥 치료 경험이 많은 병원으로 지체없이 이송해 실기하지 않고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송재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대동맥 박리는 형태가 다양하므로 CT 등 최첨단 영상기법을 이용해 정확히 진단해야 하며, 이를 근거로 흉부외과와 심장내과의 협진을 통해 치료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적 접근임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 임상연구 결과는 미국 심장학회 공식학술지(Circulation)에 최근 게재됐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서울아산병원 송재관(심장내과)·주석중·김준범(이상 흉부외과) 교수팀은 1999년부터 2011년까지 대동맥 박리로 병원을 찾은 환자 중 혈류의 역방향으로 대동맥 박리가 발생한 49명의 환자를 분석한 결과, 일부 환자의 경우 장기생존율에서 수술보다 약물치료가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특히 역방향 대동맥 박리 환자 중 특정 조건에 부합한 환자 16명에게 수술 대신 약물만으로 치료한 결과, 5년 생존율이 100%로 나타나 수술을 시행한 환자 33명의 5년 생존율인 81.2%보다 훨씬 높은 5년 생존율을 보였다.
의료팀은 이 과정에서 대동맥 박리 발생 당시 혈류가 안정적이며, 상행대동맥의 분리된 내강이 혈전으로 차 있고, 심장과 가까운 상행대동맥의 직경이 5.5cm 미만인 환자들에게는 약물 치료를 먼저 시행하는 조건을 적용했다.
이같은 임상연구 결과는 그동안 치료 지침이 정확히 정립되지 않았던 역방향 대동맥 박리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의료팀은 “약물로 치료한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이 수술환자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그동안 표본이 적어 실질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던 역방향 대동맥 박리 치료에서 특정 조건에 부합할 경우 약물치료가 훨씬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대동맥 박리란, 심장에서 인체 곳곳으로 혈액을 보내는 가장 큰 혈관인 대동맥의 내벽이 찢어지는 현상으로, 이 경우 혈액이 원래 흘러야하는 통로인 대동맥 진강이 아닌 내막과 중막 사이의 분리된 공간(가성 내강)으로 유입되게 되며, 이런 상황에서는 대동맥의 장축을 따라 대동맥 벽이 파열되는 매우 위험한 상태에 빠지기 쉽다.
이런 대동맥 박리가 발생할 경우 지금까지는 병변 위치에 따라 치료 지침이 달랐다. 대동맥 궁을 기준으로 삼아 심장과 가까운 상행대동맥 박리는 수술을, 복부 쪽으로 뻗은 하행대동맥 박리는 약물치료를 원칙으로 했지만 역방향 대동맥 박리는 마땅한 지침이 마련되지 않았다.
외형이 지팡이 손잡이처럼 ‘C’자형으로 구부러진 상부 대동맥은 혈액이 궁을 지나 위에서 아래로 흐르기 때문에 혈류와 같은 방향으로 혈관이 찢어지는 박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같은 이유로 역방향 대동맥 박리가 발생하기도 한다.
주석중 교수는 “대동맥 박리는 초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률이 급증하는 응급질환”이라면서 “흉부가 찢는 듯 것 같거나 혈압을 높일 정도의 심한 통증이 나타난다면 대동맥 치료 경험이 많은 병원으로 지체없이 이송해 실기하지 않고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송재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대동맥 박리는 형태가 다양하므로 CT 등 최첨단 영상기법을 이용해 정확히 진단해야 하며, 이를 근거로 흉부외과와 심장내과의 협진을 통해 치료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적 접근임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 임상연구 결과는 미국 심장학회 공식학술지(Circulation)에 최근 게재됐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