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조, 늘봄학교 611곳 실태조사
“강사 대신 교사가 프로그램 맡고
기간제 교사 구하기도 어려워”
정부 “12만명 혜택…인력 확보”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조합원들이 1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1학기 늘봄학교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초등학생 돌봄을 확대하는 ‘늘봄학교’ 시행 1주일이 지난 가운데 현장에서는 여전히 인력과 공간 부족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강사를 구하지 못해 교사가 늘봄학교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행정 업무도 한다는 주장이 많았다. 반면 교육부는 “신규 업무가 기존 교원에게 전가되지 않도록 행정 인력을 배치했다”고 반박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12일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4~11일 늘봄학교를 운영하는 611개 초등학교 관계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늘봄학교는 초등학생을 오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 학교에서 돌보는 정책으로, 이달부터 전국 2741개 학교에서 운영 중이다.
전교조 설문에 따르면 1학기 늘봄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강사의 유형에 대해 응답자의 53.7%가 교사(정교사·기간제교사)라고 답했다. 나머지는 방과 후 강사 또는 돌봄전담사 등이었다. 또 늘봄학교 행정 업무 담당자 가운데 교원(교감·기간제 교사·정교사)이 89.2%로 가장 많았다.
앞서 정부는 교육지원청 늘봄지원센터를 통해 학교의 강사 수급을 돕고, 행정업무를 위해 기간제 교사도 채용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교사의 17.3%는 행정업무를 맡을 기간제 교사를 채용하지 못했다고 했다. 기간제 교사가 채용되지 않은 이유로는 81%가 ‘채용 공고에 지원한 사람이 없음’을 꼽았다. 기간제 교사가 없는 경우 늘봄 행정업무를 맡은 이들은 상당수가 기존 교원(55.5%)인 것으로 집계됐다.
초등교원 자격 소지자를 기간제 교사로 채용한 경우 연령대가 ‘60대 이상’이라는 응답이 46%로 절반에 가까웠다. 20~30대는 25.4%, 40~50대는 28.6%였다. 기간제 교사가 가진 교원 자격과 다른 교과에 투입되거나, 기간제 교사에게 과도한 업무를 부여해 채용을 포기한 경우도 있다고 전교조는 전했다.
4일 오후 서울의 한 초등학교 돌봄교실에서 어린이들이 책을 읽는 수업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교육부는 “늘봄 콜센터를 운영해 민원을 직접 접수하고 현장지원단을 운영해 애로사항 해결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