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전파·한류 확산 일등공신 세계 곳곳 ‘한글 학교’ 아시나요

한글 전파·한류 확산 일등공신 세계 곳곳 ‘한글 학교’ 아시나요

강병철 기자
입력 2015-10-07 23:02
수정 2015-10-08 00: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교민들이 자녀 교육 위해 세워 1875곳 학생수 총 10만 2880명

재외동포 자녀들의 한글 교육을 위해 만들어진 ‘한글학교’가 한글 전파와 한류 문화 확산의 산파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외국인 학생이 1만 8400여명

7일 외교부 산하 재외동포재단과 재외공간 등에 따르면 올해 운영 중인 전 세계 한글학교는 1875곳으로 학생수는 총 10만 2880명이다. 이 중 1만 8400여명이 재외동포가 아닌 외국인 학생으로 파악됐다.

한글학교는 교민들이 자녀 교육을 위해 세운 비정규 학교다. 역사적으로 1903년 하와이 이주 노동자들이 세운 학교가 시초이며, 1960년대 중반부터 이민이 활성화되며 전 세계 한글학교 수도 본격적으로 늘어났다. 이후 재외동포 한글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관련법이 마련돼 재외동포재단이 지원사업을 벌이고 있다. 올해 관련 예산은 115억원가량이다.

애초 동포 자녀 교육 목적으로 설립됐지만 다문화 자녀로 교육 대상이 차츰 확대되다 최근에는 아예 순수 외국인 학생들까지 한글학교에 등록하고 있다. 한류 열풍에 힘입은 덕이다. 특히 한글학교는 공식 한글교육기관인 한국교육원(전 세계 39곳)과 세종학당(전 세계 138곳)이 없는 지역에서는 한국문화 전파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태권도장·유치원으로 변질 사례도

하지만 부실하게 운영되는 한글학교도 적지 않다. 정규 교사 없이 자원봉사로만 운영되거나 교육장소를 마련하지 못해 전전하는 경우도 있다. 외교부 한 관계자는 “한글 교육 기능이 점점 쇠퇴하다가 한국무용·사물놀이만 가르치거나 사실상 태권도장, 유치원으로 변질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고 전했다.

●한인사회·봉사에 의지하다 운영 악화

이 같은 부실은 재원 부족에 기인한 바가 크다. 학교별로 수업료를 받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공익성을 앞세워 한인사회 지원이나 봉사에 의지하다 보니 운영이 힘들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자발적으로 만든 학교이기 때문에 재외동포재단도 학생수나 교육과정을 따져 선별 지원을 하고 있다.

현지 맞춤형 교육 커리큘럼의 부재도 지적된다. 외교부 한 관계자는 “교민 3~5세로 내려가며 한글 학습을 자기경쟁력 강화 수단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며 “그런 목표에 따라 국내 교육과는 다른 교수법과 교재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5-10-0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