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육硏 5년간 추적 조사
초등학교 때 받는 사교육이 중·고등학교 때 받는 사교육에 비해 이후의 학력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약 8900명의 학생 표본집단을 통한 실증적 관찰연구를 통해 증명됐다.이에 따르면 초4 때 사교육을 받은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의 학업 성취도(국어·영어·수학 평균점수)는 각각 51.28점과 47.69점으로 차이가 3.59점에 불과했지만, 이들이 중2가 됐을 때에는 각각 52.73점과 44.69점으로 8.04점까지 확 벌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중·고교생도 사교육 여부에 따른 학업 성취도 격차가 나타났다. 하지만 초등학생과 달리 학년이 올라가도 큰 변화는 없었다. 2010년 당시 중1이던 2314명 가운데 사교육을 받는 학생의 학업 성취도는 52.52점으로 받지 않는 학생(45.47점)에 비해 7.05점 높았다. 이들이 고2가 된 지난해에는 격차가 7.67점으로 0.62점 차이를 보였다. 2010년 당시 고1이던 4223명의 사교육 여부에 따른 학업 성취도 격차는 6.33점이었고, 2012년 고3이 된 이들의 격차는 6.45점으로 격차의 진폭이 미미했다.
연구책임자인 김경근 고려대 교육학과 교수는 “서울시 학생들의 사교육 학업 성취도 격차는 초등학교 단계에서 거의 결정되는 경향이 있다”면서 “교육격차를 줄이는 정책 시행에 사교육과 학생 노력의 영향력이 강하게 나타나는 시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소득수준에 따른 학업 성취도 차이는 다소 완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중학생 표본집단이 중1일 때 가계소득 기준 ‘200만원 이하’와 ‘500만원 이상’ 가구의 학생 간 학업성취도 차이는 9.56점이었지만 이들이 고2가 된 지난해에는 격차가 7.46점으로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고교생 표본집단 역시 고1일 때 11.01점이던 격차가 고3 때는 9.84점으로 줄었다. 또 세 표본집단의 조사 첫해를 비교했을 때 고교생 11.01점, 중학생 9.56점, 초등생 7.81점으로 학교급이 낮을수록 소득수준에 따른 학업 성취도 차이가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5-07-3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