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 천국’ 찾은 교육 선진국
그들에게 한국의 사교육 현장은 ‘신세계’였다. 대학 입시라는 제도 자체가 이해가 안 되는 판에 거기를 가기 위한 별도의 학원이라니. 대학에 사회적 등급이 있고, ‘더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해 ‘재수생’이란 신분으로 학원을 1년 더 다닌다고? 이 모든 게 그들에겐 놀라움의 연속이었다.26일 파란 눈의 외국인 6명이 호기심 가득한 표정으로 서울 강남의 대입 재수학원을 찾았다. 한국의 입시 제도와 사교육 시스템을 알아보기 위해 방한한 네덜란드 교육부 태스크포스(TF)팀. 이들이 선택한 곳은 명문대 진학을 위해 재수를 선택한 최상위권 수험생들이 다니는 강남 H학원이었다.
한국에서 보고 들은 것을 바탕으로 자국 학생들의 학력을 향상시킬 방안을 찾는 게 이들의 임무. 4세부터 16세까지 의무교육인 네덜란드에는 입시제도 자체가 없다. 무상인 의무교육 기간 동안 학생의 적성을 파악해 실무적 기술을 배워 취업을 할지, 아니면 대학을 갈지가 정해진다.
이들에게 한국의 입시제도를 설명한 학원 관계자는 27일 “수시, 정시를 구분해서 자세히 설명하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전혀 이해를 못할 것 같아서 정시 위주로만 설명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아무리 설명을 해도 왜 학생들이 ‘재수’라는 것을 하는지 이해를 못 하는 듯했다”고 말했다. 학원 측이 “입시에서 수능시험이 결정적”이라고 하자 아넬리즈 블로머스 교육부 중·고등교육담당 정책위원은 “어떻게 단 한 차례의 시험으로 학생을 평가할 수 있는가”라며 눈을 동그랗게 떴다.
TF팀은 의외로 밝은 수업 분위기와 학생들의 표정에 또 한번 놀랐다. 이들이 참관한 한국사 수업은 강사의 일방적 주입식 교육이 이뤄질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파워포인트, 동영상, 만화 등 다양한 시청각 교재로 진행됐다. 비앙카 모퓌르호 교육부 부장은 “1년을 더 공부하고 있어서 불행하다고 느끼고 있을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았다. 오히려 활기와 적극성이 느껴졌다”며 의외라는 표정을 지었다.
TF팀은 오프라인으로 진행된 수업이 거의 동시에 온라인 강의로 제작되고, 학생들이 손쉽게 접근해 필요한 수업을 선택해 듣는 것에 마지막으로 놀랐다. 세스 반 코펀 미디어산업부 정책위원은 “학구열과 입시 경쟁이 높은 교육 수준을 이끌어 가는 것이 인상적”이라고 말했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5-05-28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