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최저기준 수시 당락 좌우… 탐구영역 반영 방식 잘 살펴야
‘수학능력시험 최저학력기준’(수능최저기준)은 학생부 종합 및 교과, 논술 등 대입 수시전형에서 합격을 위한 최소한의 요건으로 대학마다 설정해 놓은 기준을 뜻한다. 그런데 최소한의 지원 자격기준이라는 원래 취지와 달리 수능최저기준이 수시모집에서 수험생들의 지원 여부와 전략 수립, 당락에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27일 수능최저기준이 ‘몸통을 흔드는 꼬리’가 되는 현상을 분석하고, 수시전형 지원 시 고려해야 할 점을 살펴봤다.●높아도 문제, 폐지해도 문제
지난해 서울 소재 중위권 A대학은 합격 성적이 비슷한 다른 대학들과 달리 학생부교과전형에서 ‘4개 영역 중 2개 평균 2등급, 전 영역 3등급 이내’라는 비교적 높은 수능최저기준을 적용했다. 그러자 교과성적은 높지만 수능최저기준에 대한 부담을 느낀 수험생들은 지원을 기피했고, 반대로 교과성적이 낮아도 수능최저기준을 충족할 수 있다고 생각한 수험생들이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그 결과 일부 학과의 합격선이 기존 2등급 중반에서 3등급 후반까지 떨어지는 등 이 대학의 교과성적 합격선은 전반적으로 하락했다.
반대로 B대학은 학생부교과전형에서 학생들의 부담을 줄이고, 지원을 유도하기 위해 수능최저기준을 폐지했다. 하지만 다른 요소 없이 교과 100%로만 선발하는 전형 방법 때문에 수험생들의 부담이 높아져 오히려 지원율이 하락했다. 이에 따라 올해 수능최저기준을 폐지한 일부 대학은 수험생들의 부담감을 낮추기 위해 교과 100%로만 선발하지 않고, 단계별 전형에 면접을 추가시키는 등 변화를 주기도 했다.
●대학·영역별 적용방법 꼼꼼히 따져야
서울 소재 대학에서 활용되는 수능최저기준은 ‘4개 영역(국·수·영·탐) 중 2개 영역 등급 합 4등급 이내’, ‘4개 영역 중 2개 영역 각 2등급’, ‘4개 영역 중 2개 영역 평균 2등급’ 등이다. 이 세 가지가 모두 비슷한 듯 보이지만 실제 어려운 순서는 ‘각 2등급’>‘합 4등급 이내’>‘평균 2등급’ 순이다. 평균 2등급의 경우 탐구 두 과목의 성적에 따라 반올림을 해 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합 4등급 이내와 유사하거나 조금 수월할 수 있다. 이처럼 비슷해 보이는 수능최저기준을 본인이 충족할 수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대학별로 제시한 기준을 유심히 체크해야 한다.
●평소 모의평가 성적 따라 지원해야
이와 함께 수능최저기준의 영역별 적용 방법도 따져 봐야 한다. 대표적으로 탐구영역 반영 과목 수와 관련된 것인데 일부 대학의 경우 정시와는 반영 과목 수가 다르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연세대는 학생부교과와 종합전형에서 탐구영역 2과목 평균을 활용하지만, 논술전형에서는 탐구영역 상위 1과목 등급을 활용한다. 중앙대 학생부교과와 논술전형의 경우도 탐구 1과목을 활용한다. 또 성균관대 논술전형은 3개 영역 등급 합 6등급 이내를 요구하지만 탐구와 제2외국어·한문도 개별 영역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국·수·영·탐이 아닌 국, 수, 영, 탐구1, 탐구2, 제2외국어 총 6개 중 3개 영역 합 6등급 이내를 요구하고 있다. 이처럼 대학마다 수능최저기준을 적용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이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 전형의 수능최저기준에 특이 사항이 없는지 살펴봐야 한다.
김희동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수능최저기준이 적용되는 대학에 지원할 때는 단순히 교과성적이나 비교과 활동만으로 수시 지원 여부를 판단하기보다 평소 본인의 모의평가 성적에 따라 수능최저기준을 충족 여부도 함께 고려해 지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5-04-2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