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학기 증후군 극복 방법
직장인에게 월요병이 있다면 학생에게는 새 학기 증후군이 있다. 새 학년 3주차에 접어들었지만 새 친구, 새 교실, 새 담임교사 등 온통 낯선 환경에서 복통·두통·무기력증 등을 호소하는 학생이 많다. 이처럼 자녀의 새 학기 적응 과정에서 학부모도 덩달아 스트레스를 받는다. 새 학기 증후군 극복 방안을 서울시교육청의 도움으로 정리해 봤다.새 학기 증후군이란 입학하거나 학년이 올라가는 환경적 변화의 시기에 심리적·신체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현상을 말한다. 아이가 학교 갈 시간이 되면 갑자기 몸이 아프다고 호소하거나, 학교 가기 싫다는 말을 습관적으로 하면 단순한 꾀병이 아닌 새 학기 증후군을 의심해 봐야 한다. 서울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관계자는 “새 학기 증후군은 학년이 바뀌는 3~4월에 많이 찾아오는데, 방치하면 자칫 위험할 수 있다”며 “학교 생활의 여러 어려움을 함께 이야기하면서 좀 더 좋은 방법을 찾아보면 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체험학습 포털 위크온이 지난해 2월 전국 초등학생 학부모 22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69%가 ‘자녀가 새 학기 증후군을 호소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새 학기 스트레스의 가장 큰 요인으로는 52%가 교우 관계를 꼽았다. 그 다음은 초등 1학년에게 주로 나타나는 분리불안(보호자와 떨어지는 것에 대한 불안증세)이 21%로 뒤를 이었다.
교우 관계가 가장 많이 꼽힌 이유는 형제가 적은 요즘 집에서 부모의 관심을 독차지하던 아이가 학교에서 다른 아이들을 배려하지 않고, 부모에게서 받는 대접과 똑같은 관심을 받으려는 경향이 강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초등생의 경우 타인을 배려하는 게 서로 연습이 안 된 상태에서 만나다 보니 싸움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럴 경우 자녀와 문제가 되는 상황과 상대의 입장, 기분을 충분히 이해함으로써 남을 배려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부모가 자녀에게 ‘좋은 친구를 사귀라’고 말하기 이전에 ‘네가 먼저 좋은 친구가 돼 주라’고 조언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학교에서 친구와 다툼을 벌였을 때 일방적 책망, 혹은 편들기는 금물이다. 이럴 때는 “만약 네가 친구와 같은 상황이었다면 기분이 어떨까”라든가, “네가 계속 지금처럼 행동하면 다른 친구들이 좋아할까” 등 스스로 배려의 태도를 가질 수 있게 해 줘야 한다는 것이다.
학기 초의 중·고교 교실은 전쟁터를 방불케 한다. 만만하게 보이면 안 된다는 생각에 기(氣) 싸움을 하기 때문이다. 117 학교폭력신고센터 관계자는 “학기 초에는 학교폭력 신고가 평소의 2배 정도까지 치솟는다”면서 “특히 고교에서는 주도권을 잡기 위한 싸움이 많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물론 중·고생은 자의식이 강해지는 시기라 부모의 충고를 귀담아 듣지 않는 것처럼 보일 때가 많다. 하지만 시교육청 관계자는 “사춘기라 해도 고민하고 있는 부분에 대한 부모의 충고는 듣지 않는 척하면서도 다 듣는다”면서 “내심 부모 말을 잘 듣고 싶으나 뜻대로 되지 않는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자녀에게 강해 보이고 좋은 친구를 사귈 수 있는 방법이 무작정 ‘센 척’하는 것이 아니라 부드럽고 따뜻한 태도를 보이는 것이라고 알려 줄 필요가 있다. 한 고교 교사는 “활발하고 리더십이 강한 학생이 인기가 좋을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면서 “실제로는 친구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고, 남에게 비밀을 이야기하지 않고, 부정적인 말과 뒷담화를 하지 않는 학생 주변에 친구들이 모인다”고 말했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5-03-17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