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학교폭력대책자치위 심의 결과 분석해보니
지난해 서울에서 학생 수 대비 학교폭력(중학교) 건수가 가장 많은 자치구는 강북구와 구로구, 영등포구로 조사됐다. 중구와 서초·광진·마포·강남구의 학교폭력 건수는 강북구의 3분의1 수준에 불과했다.성북구(92건), 구로구(82건), 강북구(80건) 순으로 학교폭력 발생 건수가 많았다. 학생 1000명당 발생 건수를 따져 보면 강북구(9.0건), 구로구(7.6건), 영등포구(7.4건) 순으로 나타났다. 강북구는 중구(2.0건)와 서초구(2.1건)의 4배를 웃돌았다. 이 밖에 광진구(2.6건)와 마포구(2.7건), 강남구(2.9건)도 비교적 학교폭력 발생 빈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단순 비교에는 무리가 많다는 지적도 없지 않다. 학폭위 심의 통계에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한다는 것이다. 주로 강남권의 학교폭력 건수가 적게 나타난 것은 사건이 기록에 남는 것을 막기 위해 학부모가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김승혜 청소년폭력예방재단 학교폭력SOS 부장은 “강남지역 학부모들은 학교폭력이 생활기록부에 남으면 대학 진학에 걸림돌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웬만하면 학폭위까지 가지 않도록 무마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귀띔했다.
학폭위는 가해 학생의 징계 수위를 심의하고 피해 학생 보호를 논의하는 기구로 교감, 생활지도 교사, 학부모 대표, 법조인, 경찰, 의사 가운데 5~10명을 학교장이 임명·위촉한다. 통상 학폭위에서 다뤄진 학교폭력 건수는 발생 건수보다 적다. 실제 서울시교육청이 지난해 실시한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학생 1000명당 20명꼴로 학교폭력을 당했거나 목격했다고 응답한 바 있다. 학폭위 통계 1000명당 6명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수치다.
학폭위에서 다뤄진 1341건 중 가장 빈번한 폭력유형은 폭행(741건·55.3%), 공갈·협박·약취(220건·16.4%),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에서의 사이버따돌림(109건·8.1%) 등이다. 박종철 따돌림사회연구모임 소속 교사는 “폭행 사건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은 까닭은 명백한 증거가 나오기 어려운 욕설, 따돌림 등이 학폭위 안건이 되는 것을 가해 학생 학부모들이 사전에 손을 쓰기 때문”이라며 “가해 학생들도 심각한 단계에 이르지 않는 선에서 왕따를 시키는 등 문제를 계속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폭행은 동대문구(1000명당 5.2건)가 가장 많고, 강북구와 영등포구(각 4.3건), 관악구(4.2건)가 뒤를 이었다. 김승혜 부장은 “영등포구의 타임스퀘어, 동대문구의 패션타운 등 학생들이 몰리는 장소에서 아무래도 싸움이 많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카카오톡 단체대화방 등에서의 사이버따돌림이 현실 공간의 왕따(34건·2.5%)보다 많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경찰청 관계자는 “사이버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물리적 폭력보다는 집단 따돌림, 특히 사이버 폭력의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라며 “흔적이 남는 폭력보다 교사나 부모 등이 알아채기 힘들어 더 심각하다”고 설명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5-02-23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