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연구중심대학을 가다] 포스텍은 설립 때부터 산학연 협력체제 갖춰 ‘지방 단과대’ 약점 극복

[세계 연구중심대학을 가다] 포스텍은 설립 때부터 산학연 협력체제 갖춰 ‘지방 단과대’ 약점 극복

입력 2013-01-29 00:00
수정 2013-01-2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승환 포스텍 산학협력처장

→포스텍이 전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짧은 시간에 일류 대학의 위치에 올랐는데.

이미지 확대
김승환 포스텍 산학협력처장
김승환 포스텍 산학협력처장
-설립 초기에 해외 우수인력을 적절하게 영입했고 학생들의 도전 의식을 자극해 우수 학생을 유치한 것, 포스코의 전폭적 재정지원, 작은 지방 사립대학으로서의 유연성 등 몇 가지 요소가 융합된 결과다.

→국내 대학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수도권 소재’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는데도 성공했다.

-‘지방’, ‘단과대학’, ‘사립’은 통념적으로 포스텍이 갖고 있는 불리한 조건이다. 하지만 포스텍의 성공을 이해하려면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수도권의 대학들은 우수 학생들을 블랙홀처럼 끌어들이는 데만 초점을 맞췄다. 반면 포스텍은 지방에서 우수 인력들에게 쾌적하고, 몰입할 수 있는 연구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었다. 따로 떨어져 있어 기존의 틀에서도 자유로웠다. 지방에 있으면서 세계를 겨냥하는 ‘글로컬(글로벌+로컬) 국제화’ 전략을 쓴 것도 지금의 경쟁력을 얻게 된 중요한 이유다.

→연구중심 대학은 정부 지원뿐 아니라 기업과의 관계 설정도 매우 중요하다. 포스텍이 규모에 비해 국내 최고 수준의 산학협력 수익과 성과를 거두고 있는데.

-포스텍은 건학 이념에도 산학연 협력이 명시돼 있다. 초기부터 포스코나 대학과 캠퍼스를 마주하는 산업과학연구원(RIST) 등 산학연 협력의 이상적인 체제를 구축해 왔다. 포스텍의 축적된 기초 원천 성과와 이노베이션은 포스텍이 위치한 지곡밸리를 기술형 벤처 생태계로 만드는 핵심 포인트다.

→현재의 포스텍을 비롯한 한국의 연구중심 대학이 더 발전하기 위해 해결하거나 극복해야 할 과제는 무엇일까.

-포스텍은 공기업인 포스코의 전폭적 지원과 국가 연구개발 지원을 통해 오늘의 위치에 올랐다. 지역의 대학이 아니라 국가와 사회에 기여하는 대학이 돼야 한다. 포스텍과 같은 연구중심형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들이 이제 기초연구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성장동력 창출과 창조경제의 실현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의 지원과 제도적 정비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2013-01-29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