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먼저 떠난 아내 그리워하다… 가수 김용만 89세로 별세

한 달 먼저 떠난 아내 그리워하다… 가수 김용만 89세로 별세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4-09-27 20:51
수정 2024-09-27 23: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1953년 데뷔… 1950~60년대 풍미
‘남원의 애수’ ‘청춘의 꿈’ 등 히트곡 多
백야성의 ‘잘 있거라 부산항’ 등 작곡도
최근까지 ‘가요무대’ 출연 히트곡 열창
이미지 확대
원로가수 김용만이 지난해 3월 KBS1 ‘가요무대’에 출연해 자신이 작곡하고 백야성이 노래한 ‘잘 있거라 부산항’을 열창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KBS 레전드 케이팝’ 캡처
원로가수 김용만이 지난해 3월 KBS1 ‘가요무대’에 출연해 자신이 작곡하고 백야성이 노래한 ‘잘 있거라 부산항’을 열창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KBS 레전드 케이팝’ 캡처


‘남원의 애수’, ‘청춘의 꿈’, ‘회전의자’ 등 히트곡을 내며 1950~60년대를 풍미한 원로가수 겸 작곡가 김용만이 27일 오전 별세했다. 향년 89세.

고인은 1935년 경기민요를 하던 국악인 김대근 선생의 3남으로 서울 종로에서 태어났다. 고인의 동생 김용남 역시 대금 연주와 악기 제작을 한 국악인이었다.

고인은 악기점에서 일하는 친구 때문에 그곳을 드나들다 ‘개나리 처녀’의 작곡가 김화영을 만났고, 이를 계기로 1953년 ‘남원의 애수’로 데뷔하며 가수 활동을 시작했다.

이 노래는 ‘한양 천 리 떠나간들 너를 어이 잊을쏘냐/ 서낭당 고갯마루 나귀마저 울고 넘네/ 춘향아 우지마라 달래었건만/ 대장부 가슴 속을 울리는 님이여’라는 춘향전을 모티브로 한 애틋한 가사로 크게 히트했다.

이미지 확대
원로가수 김용만이 지난해 8월 KBS1 ‘가요무대’에 출연해 자신의 히트곡 ‘청춘의 꿈’을 열창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KBS 레전드 케이팝’ 캡처
원로가수 김용만이 지난해 8월 KBS1 ‘가요무대’에 출연해 자신의 히트곡 ‘청춘의 꿈’을 열창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KBS 레전드 케이팝’ 캡처


데뷔곡의 성공에 힘입어 신신레코드사 전속가수로 발탁된 김용만은 이후 ‘청산유수’, ‘효녀심청’, ‘청춘의 꿈’, ‘생일 없는 소년’, ‘회전의자’, ‘무적자’ 등을 연달아 히트시키며 인기 가수의 반열에 올랐다.

김용만은 생전 무대에서 ‘아침’을 ‘아츰’으로, ‘수고합니다’를 ‘수고합네다’로 특이하게 발음해 청자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기기도 했다. 노랫말엔 당대 시대상과 해학을 녹여내 듣는 이를 위로했다.

이후 싱어송라이터로 변신한 김용만은 ‘명동 부르스’, ‘후라이 맘보’ 등을 냈다. 직접 작사·작곡을 하는 가수가 드물었던 1950년대에 그는 지방 무대를 다니는 틈틈이 노래를 만드는 열정을 보였다.

이미지 확대
1960년대 김용만의 모습. 박성서 대중음악평론가 제공
1960년대 김용만의 모습. 박성서 대중음악평론가 제공


김용만은 가수 백야성과 콤비를 이뤄 그의 대표곡을 만들어내기도 했다. 백야성의 ‘잘 있거라 부산항’을 비롯해 ‘항구의 영번지’, ‘못난 내 청춘’, ‘마도로스 도돔바’ 등이 모두 김용만의 작품이다.

김용만은 지난해와 올해에도 KBS1 ‘가요무대’ 등에 수차례 출연하며 정정한 모습으로 자신의 히트곡들을 열창해 관객들에게 감동을 전했다. 가장 최근인 지난 7월에는 ‘청춘의 꿈’으로 엔딩 무대를 장식해 박수 갈채를 받기도 했다.

김용만은 한 달 전쯤 부인을 먼저 떠나 보내고 그리워하는 날들을 보내온 것으로 전해졌다.

박성서 대중음악평론가는 “김용만의 노래는 지극히 서민적으로, 삶의 애환이 해학적으로 담겨 있던 것이 특징”이라며 “‘무영탑’·‘삼국지’·‘놀부와 흥부’·‘한양 가는 방자’ 등 고전 인물, 명작, 전래동화를 소재로 한 노래를 많이 발표한 점도 특이하다”고 평가했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