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가 반말로 소리 지르고 험상궂은 표정”… 간호사 ‘직장 폭력’ 실태

“의사가 반말로 소리 지르고 험상궂은 표정”… 간호사 ‘직장 폭력’ 실태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3-09-05 07:10
수정 2023-09-05 07: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은준 방통대 교수 연구팀 최근 논문서
연구에 참여한 간호사 1000명 대상 조사
10명 중 7명 “한 번 이상 직장 폭력 경험”
24.6%, 최근 6개월 의사가 직장 내 폭력
응답자 4%는 육체적·언어적 성희롱 피해
이미지 확대
병원 자료 이미지. 서울신문 DB
병원 자료 이미지. 서울신문 DB
간호사 4명 중 1명은 최근 6개월 사이에 의사로부터 물리적·언어적 폭력이나 성희롱 등 ‘직장 폭력’을 당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5일 간호계에 따르면 박은준 한국방송통신대 간호학과 교수 연구팀(박승미 충북대 간호학과 교수·곽은주 혜전대 간호학과 교수·이예원 강북삼성병원 간호본부 간호사)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논문 ‘병원간호사의 직장 폭력 경험 실태 및 대응 체계에 대한 인식’을 한국간호교육학회지에 최근호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지난해 11월 14일부터 12월 22일까지 전국 40개 병원 간호부에 연구계획서를 제출해 자료 수집에 대한 승인을 얻었고,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간호사 1000명에게 직장 내 폭력 경험에 대해 물었다.

조사에 응한 간호사 가운데 50.3%(503명)는 상급종합병원 소속이고, 종합병원 38%(380명), 병원 11.7%(117명) 등이었다. 근무 부서는 일반 병동 42.5%,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18%, 외래 16%, 중환자실 15.1%, 응급실 8.4%다.

간호사의 71.1%(711명)는 가해자와 그 유형에 상관없이 적어도 한 번 이상 직장 폭력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그중 환자 등(보호자·간병인)에 의한 직장 폭력은 전체 응답자 중 68.9%(689명), 의사에 의한 직장 폭력은 29.5%(295명), 간호사 동료에 의한 폭력은 29.3%(293명)가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응답자(1000명) 중 24.6%(246명)는 최근 6개월 내 의사로부터 폭력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폭력 유형별로 보면 21.1%(211명)가 물리적 폭력, 23.6%(236명)가 언어폭력을 경험했다고 했다.

간호사가 의사로부터 당한 물리적 폭력의 종류(중복응답 가능)로는 ▲험상궂은 표정을 지음(73.2%) ▲화를 내며 병동을 돌아다님(69.9%) ▲병원 물건을 발로 참(14.2%) ▲물건을 던지려고 함(5.7%) 등이 있었다.

언어적 폭력으로는 ▲강압적 어조(82.1%) ▲반말(76.8%) ▲소리 지름(66.3%) ▲직종에 대해 무시하는 말(58.5%) 등이었다.

최근 6개월 사이 의사로부터 성희롱을 당했다는 응답은 4%(40명)였다. 성희롱 유형으로는 ▲육체적 2.1%(21명) ▲언어적 1.6%(16명) ▲시각적 0.5%(5명)로 조사됐다.

최근 6개월 내 동료 간호사에게 폭력을 경험한 간호사도 21.4%(214명) 있었다.

폭력을 당했을 때 간호사의 대응 방법은 가해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났다.

동료 간호사가 가해자면 상급자에게 보고하거나 직접 반박하는 등 적극 대응했으나, 의사가 가해자일 경우 무시하거나 그런 일을 다시 당하지 않으려고 조심스럽게 행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에 의한 물리적 폭력에 대한 대응으로는 ▲별일 아닌 척 넘어간다(31.3%) ▲재발하지 않도록 조심했다(26.8%)는 응답이 많았다. 반면 동료 간호사에게 물리적 폭력을 당했다면 ▲상급자에게 보고(58.4%) ▲직접 불쾌감을 표시(45.8%) 등 방식으로 대응했다.

연구팀은 “간호사는 의사의 폭력에 대해 소극적인 행동을 보였다. 문제해결에 대해 회의적임을 엿볼 수 있었다”며 “언어폭력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 의사소통을 피하게 된다면 환자 진료에 상당한 위험을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비밀 보호, 공정한 조사를 기대하기 어려워 신고를 포기할 수 있다. 폭력관리 담당 인력 등을 별도로 운영하거나 외부 전문기관과 계약해 대응 체계를 운영할지 검토해야 한다”며 “직장 폭력을 범한 의료진 처벌, 피해의료인 인권 보호, 조직 문화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