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사도광산 모습 [출처=사도광산 홈페이지]
서 교수는 서한에서 “사도광산을 ‘에도시대’로 한정한 것은 태평양전쟁 기간에 최소 1140여명의 조선인이 사도광산에서 강제 노역한 역사적 사실을 은폐하려는 꼼수”라고 지적했다.
일본 니가타(新潟)현 사도섬에 있는 사도광산은 에도(江戶)시대(1603∼1868년)에 금광으로 유명했으나 태평양전쟁이 본격화한 후 구리·철·아연 등 전쟁 물자를 캐는 광산으로 주로 활용됐다. 태평양전쟁 기간, 조선인이 강제 동원돼 가혹한 환경에서 일한 곳이다.
일본은 사도광산의 등재를 추진하면서 대상 시기를 에도시대로 한정했다. 2015년 군함도 세계유산 등재 당시에도 시기를 1850~1910년으로 한정해 올렸다. 강제 노역이 벌어지기 이전 역사만 세계유산으로 인정받으려는 꼼수다.
서 교수는 “일본이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면서 군함도와 비슷한 꼼수를 쓰다간 또다시 ‘국제적인 망신’을 당할 것”이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을 멈추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는 올해 말까지 세계유산위원회의 군함도 관련 지적 사항에 대한 이행보고서 제출에나 똑바로 신경써라”라고 일갈했다.
일본 우익 의원들의 작성 결의문에는 한국과의 ‘역사전쟁’이라는 표현을 써가며 일본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이에 서 교수는 “충분히 예상했던 일”이라며 “다음달 1일 일본 정부가 유네스코에 최종 신청하게 되면, 사도광산 강제 노역 진실을 전 세계에 알리는 캠페인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