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맞아야지’…불안감 속 75세 이상 화이자 접종 시작

‘그래도 맞아야지’…불안감 속 75세 이상 화이자 접종 시작

최종필 기자
최종필 기자
입력 2021-04-01 13:46
수정 2021-04-01 13: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불안감·기대감 교차속에서도 백신 접종 순조롭게 진행
접종 날짜 모른채 와 전국 곳곳에서 실랑이 모습도

이미지 확대
75세이상 일반인 접종이 시작한 첫날 순천대 국제문화컨벤션관 예방접종센터에서 김용윤(85·매곡동)씨가 화이자 백신을 맞고 있다. 김 씨는 “이 나이에 뭔 겁이 난다고 주사를 안맞겠냐”며 웃음을 보였다.
75세이상 일반인 접종이 시작한 첫날 순천대 국제문화컨벤션관 예방접종센터에서 김용윤(85·매곡동)씨가 화이자 백신을 맞고 있다. 김 씨는 “이 나이에 뭔 겁이 난다고 주사를 안맞겠냐”며 웃음을 보였다.
“주사를 맞으면 후유증이 있을거다는 말도 많지만 그래도 접종을 해야 면역력이 생긴다고 하니까 서둘러 왔어요.”

1일 오전 10시 순천대 국제문화컨벤션관 예방접종센터에서 주사를 맞고 나온 김용윤(85·매곡동)씨는 “이 나이에 뭔 겁이 난다고 주사를 안맞겠냐”며 “살려고 백신을 맞았는데 아무 걱정하지 않는다”고 웃음을 보였다.

75세이상 일반인과 노인시설 대상자들에 대한 접종이 시작한 첫날 불안감과 기대감이 교차되면서도 전국적으로 백신 접종은 순조롭게 진행됐다. 이날 순천대 국제문화컨벤션관앞에는 오전 8시부터 접종자들이 찾아 올 정도로 높은 관심을 보였다. 모두 예약을 하고 온 사람들인데도 50m에 이르는 긴 줄에서 순서를 기다리는 모습들이었다. 접종자 대부분은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면 안되기 때문에 꼭 맞아야한다는 생각이 들었다”는 반응들을 보였다.

광주 염주종합체육관에 마련된 서구 접종센터에서도 이른 아침부터 관내 19개 노인시설 이용자 등이 시설장과 보호자 등의 안내를 받으며 줄줄이 입장해 대기석에서 접종을 기다렸다. 아침 휠체어를 타고 온 할머니는 “접종후 1시간쯤 지났는데도 주사맞은 부위가 쫌 묵직한 느낌만 있고 다른 증세는 없다”고 말했다.

청주 상당구청에 마련된 접종센터를 찾은 노인들은 접종에 동의한 경우여서 모두들 밝은 표정이었다. 박모(83·가덕면)씨는 “언제나 될까 기다렸는데 이제야 맞았다”며 “기분도 좋고, 코로나 불안감도 많이 없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남일면 김모(84)씨는 “백신이 생각보다 아프지가 않다”며 “나는 건강해 이상반응도 없을것 같다”고 미소를 보였다.

각 자치구와 보건소 등이 미리 대상자를 선정하고 접종 날짜와 시간을 알렸지만 대상자가 아닌 주민들도 접종센터를 방문하는 사례도 눈에 띄어 지자체들의 홍보가 더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출입문에서 만난 김모(78·광주 서구 풍암동)씨는 “TV뉴스를 보고 왔는데 그냥 집으로 돌아가라는 안내를 받았다”고 말했다. 윤모(83·여)씨는 “예진표 확인 과정에서 접종 날짜가 정해져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며 “보건당국이 좀더 자세히 알려줘야 헛걸음하는 일이 없을 것”이라며 발길을 돌렸다.

예정일이 아닌데도 막무가내로 우기면서 실랑이가 벌어진 모습도 목격됐다. 오전 10시 울산 중구 동천체육관 예방접종센터에서는 중구에 사는 이모(78)씨가 공무원들에게 고함을 치며 항의했다. 이씨는 “예약이 안 됐다며 돌아가라고 해서 화가 났다”며 “이 모든 게 정부가 백신을 많이 구하지 못해 발생한 일”이라며 항의했다.

보건소 한 관계자는 “할아버지께서 예약이 안 됐는데도 무조건 접종을 해달라고 해 일시 소동이 발생했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보건 공무원들의 피로감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지난 1년 동안 선별진료소에서 코로나19 검사에 매달렸고, 최근에는 백신접종에 투입되고 있다”며 “주말과 휴일 없이 현장에 투입되고 있는 만큼 대책이 필요하다”고 하소연했다.

제주에서도 거주 지역별로 순서가 정해지면서 일부 주민들이 헛걸음을 하는 등 혼선이 빚어졌다. 도 관계자는 “1일부터 만 75세 이상 접종을 한다는 소식만 듣고 현장을 방문한 어르신들이 있어 마을별로 순서가 정해졌다는 사실을 알리고 돌려보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순천 최종필 기자 choijp@seoul.co.kr 전국종합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