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혈견을 살릴 수 있는 방법은 헌혈견뿐입니다”
다치거나 병든 개들에게 혈액을 공급하는 공혈견 이야기는 이제 많이 알려졌다. 공혈견이 피를 주지 않으면 많은 개들이 목숨을 잃는다. 하지만 2015년 열악한 환경에서 피가 뽑히는 공혈견의 모습이 공개되면서 학대 논란이 불거졌고, 평생 피만 뽑히는 공혈견의 삶이 과연 바람직한가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하지만 대부분 ‘열악한 환경에서 피만 뽑히다 죽어가는 불쌍한 공혈견이 있다’는 정도에서 관심이 그치는 경우가 많았고, 공혈견 문제를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행동까지 이어지는 경우는 적은 것이 현실이었다.
그러한 현실을 바꾸려는 노력을 시작한 곳이 있다. 아픈 개에게 건강한 혈액을 기부함으로써 공혈견을 줄여나가고 장기적으로는 공혈견을 없애자는 자발적인 헌혈견 모임 ‘한국헌혈견협회’다. 9일 경기 포천시의 한 애견 펜션에서 만난 강부성 한국헌혈견협회 대표와 헌혈견에 대한 이야기를 자세히 나눠봤다.
-헌혈견 캠페인을 시작해야겠다고 생각한 계기는?
팟캐스트를 진행하면서 대형견이 헌혈을 해주는 것이 공혈견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 당시 서울대학교 동물병원에서 헌혈견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었다. 그쪽에 연락을 하고 한 마리 한 마리 헌혈을 하러 가기 시작했던 것이 지금까지 이어져왔다.
-현재 헌혈견이 몇 마리인가요?
헌혈을 할 때마다 1호, 2호, 3호 이런 식으로 정해주는데, 작년까지 38호가 나온 상태다. 그중에서 헌혈을 2번씩 한 아이들은 4마리다.
-헌혈견 조건은?
병원에서 말하는 헌혈견의 조건은 25kg 이상이지만, 협회에서는 안전하게 30kg 이상이라고 말씀을 드린다. 실제로는 26~27kg 반려견들도 헌혈을 많이 했다. 또 정기적으로 예방접종을 받고 심장사상충이나 내·외부 구충을 잘한 강아지들이면 헌혈을 다 할 수 있다.
-헌혈 과정을 간략하게 말씀해달라
헌혈은 크게 정기헌혈이 있고 긴급헌혈이 있다. 정기헌혈로 정해진 강아지들 같은 경우에 5~6시간 금식을 한 후 헌혈을 한다. 헌혈 전 전체적인 건강검진을 한 후 소량의 채혈로 혈액형과 질병 여부를 간단하게 체크한다. 검사를 통과한 강아지는 바로 헌혈을 시작하는데 몸무게의 1% 정도의 피를 뽑는다. 보통 300cc 전후로 피를 뽑는데 소형견 3~4마리를 살릴 수 있는 양이다. 헌혈을 마치면 약간의 안정을 취한 후 귀가한다.
-헌혈 주기는 어떻게 되나요?
처음 헌혈견 캠페인에 들어오시는 분들께는 1년에 한 번씩만 헌혈을 하자고 말씀을 드린다. 이후 보호자들이 6개월에 한 번씩 해도 되겠다고 생각하시면 1년에 2번까지 권장한다.
-헌혈견이 되면 어떤 혜택이 있을까요?
대형견의 건강검진을 무상으로 받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혜택이다. 협회에서 연계병원을 만들면서 헌혈견의 건강검진을 협약조건으로 냈다. 대형견의 경우 건강검진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드는 편인데, 전체적인 혈액검사, 심장사상충검사, 문진 등을 일 년에 1~2번 주기적으로 받으면서 큰 질병을 막을 수가 있다. 이외에도 헌혈견 캠페인을 후원해주는 곳에서 각종 선물을 받아갈 수 있다. 단 모든 혜택은 헌혈견에게 돌아가며, 자발적인 헌혈견 모임이기 때문에 보호자들에게 금전적인 보상은 돌아가지 않는다.
-개 스스로 선택한 헌혈이 아니기 때문에 학대라는 시선도 있는데
헌혈견 캠페인을 진행하면서 가장 많이 들었던 이야기다. 실제로 보호자들 중에서도 반려견에게 바늘을 꽂아야 한다는 사실에 마음 아파하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공혈견 아이들을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은 헌혈밖에는 없다. 아파서 쓰러져가는 반려견을 누가 도울 것인지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 헌혈을 하지 않는다면 공혈견이 이 짐을 지어야 한다는 것인데 그건 너무 이기적인 발상이다. 1년에 딱 한번 헌혈을 하기 위해서 1시간 남짓한 시간을 약간의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하는 것은 절대 동물학대가 아니다. 그 정도의 작은 희생도 없다면 공혈견은 결국 남의 나라 얘기가 되는 것이다.
-헌혈견이 많아지기 위해서 제도적·법적으로 뒷받침됐으면 하는 부분이 있으시다면?
전국적으로 헌혈을 할 수 있는 곳이 많지가 않다. 협회랑 연계한 병원은 2곳으로 모두 수도권에 몰려있다. 많은 병원을 바라는 게 아니라 각 권역별로 하나씩만 헌혈이 가능한 병원이 생기길 바란다. 헌혈을 하기 위해 서울까지 올라오기가 상당히 힘들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거점 병원이 하나씩만 지정된다면 대형견 보호자들이 자발적으로 헌혈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최종 목표는?
강아지들의 적십자사 역할을 할 수 있는 작은 병원을 하나 짓는 것이 목표다. 대형견 보호자들은 헌혈을 하고, 헌혈견은 건강적인 혜택을 지원받을 수 있는 병원. 지금은 헌혈 가능한 병원을 찾고 협회와 연계하는 것이 가장 힘들다. 자발적인 헌혈이 안정적으로 갈 수 있는 병원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최종 목표다.
-헌혈이 가능한 대형견 보호자들에게 한마디 해주신다면?
우리 반려견들도 언젠간 나이가 들고 아프게 된다. 아팠을 때 헌혈을 받아야 하는 질병에 걸릴 수도 있고 그때는 다른 강아지로부터 도움을 받아야 한다. 미리 보험을 든다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다. 반려견들 건강하고 힘 좋을 때 헌혈 좀 해주시고, 나중에 반려견이 아프거나 약해졌을 때 헌혈을 받는 서로 도와주고 도움을 받는 관계가 만들어지길 바란다.
글 김민지 기자 mingk@seoul.co.kr
영상 박홍규, 문성호 기자 gophk@seoul.co.kr
다치거나 병든 개들에게 혈액을 공급하는 공혈견 이야기는 이제 많이 알려졌다. 공혈견이 피를 주지 않으면 많은 개들이 목숨을 잃는다. 하지만 2015년 열악한 환경에서 피가 뽑히는 공혈견의 모습이 공개되면서 학대 논란이 불거졌고, 평생 피만 뽑히는 공혈견의 삶이 과연 바람직한가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하지만 대부분 ‘열악한 환경에서 피만 뽑히다 죽어가는 불쌍한 공혈견이 있다’는 정도에서 관심이 그치는 경우가 많았고, 공혈견 문제를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행동까지 이어지는 경우는 적은 것이 현실이었다.
그러한 현실을 바꾸려는 노력을 시작한 곳이 있다. 아픈 개에게 건강한 혈액을 기부함으로써 공혈견을 줄여나가고 장기적으로는 공혈견을 없애자는 자발적인 헌혈견 모임 ‘한국헌혈견협회’다. 9일 경기 포천시의 한 애견 펜션에서 만난 강부성 한국헌혈견협회 대표와 헌혈견에 대한 이야기를 자세히 나눠봤다.
헌혈견 곤이와 시간을 보내고 있는 강부성 한국헌혈견협회 대표
-헌혈견 캠페인을 시작해야겠다고 생각한 계기는?
팟캐스트를 진행하면서 대형견이 헌혈을 해주는 것이 공혈견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 당시 서울대학교 동물병원에서 헌혈견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었다. 그쪽에 연락을 하고 한 마리 한 마리 헌혈을 하러 가기 시작했던 것이 지금까지 이어져왔다.
-현재 헌혈견이 몇 마리인가요?
헌혈을 할 때마다 1호, 2호, 3호 이런 식으로 정해주는데, 작년까지 38호가 나온 상태다. 그중에서 헌혈을 2번씩 한 아이들은 4마리다.
-헌혈견 조건은?
병원에서 말하는 헌혈견의 조건은 25kg 이상이지만, 협회에서는 안전하게 30kg 이상이라고 말씀을 드린다. 실제로는 26~27kg 반려견들도 헌혈을 많이 했다. 또 정기적으로 예방접종을 받고 심장사상충이나 내·외부 구충을 잘한 강아지들이면 헌혈을 다 할 수 있다.
-헌혈 과정을 간략하게 말씀해달라
헌혈은 크게 정기헌혈이 있고 긴급헌혈이 있다. 정기헌혈로 정해진 강아지들 같은 경우에 5~6시간 금식을 한 후 헌혈을 한다. 헌혈 전 전체적인 건강검진을 한 후 소량의 채혈로 혈액형과 질병 여부를 간단하게 체크한다. 검사를 통과한 강아지는 바로 헌혈을 시작하는데 몸무게의 1% 정도의 피를 뽑는다. 보통 300cc 전후로 피를 뽑는데 소형견 3~4마리를 살릴 수 있는 양이다. 헌혈을 마치면 약간의 안정을 취한 후 귀가한다.
보통 300cc 전후로 피를 뽑는데 소형견 3~4마리를 살릴 수 있는 양이다.
한국헌혈견협회 제공
-헌혈 주기는 어떻게 되나요?
처음 헌혈견 캠페인에 들어오시는 분들께는 1년에 한 번씩만 헌혈을 하자고 말씀을 드린다. 이후 보호자들이 6개월에 한 번씩 해도 되겠다고 생각하시면 1년에 2번까지 권장한다.
-헌혈견이 되면 어떤 혜택이 있을까요?
대형견의 건강검진을 무상으로 받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혜택이다. 협회에서 연계병원을 만들면서 헌혈견의 건강검진을 협약조건으로 냈다. 대형견의 경우 건강검진 비용이 상당히 많이 드는 편인데, 전체적인 혈액검사, 심장사상충검사, 문진 등을 일 년에 1~2번 주기적으로 받으면서 큰 질병을 막을 수가 있다. 이외에도 헌혈견 캠페인을 후원해주는 곳에서 각종 선물을 받아갈 수 있다. 단 모든 혜택은 헌혈견에게 돌아가며, 자발적인 헌혈견 모임이기 때문에 보호자들에게 금전적인 보상은 돌아가지 않는다.
-개 스스로 선택한 헌혈이 아니기 때문에 학대라는 시선도 있는데
헌혈견 캠페인을 진행하면서 가장 많이 들었던 이야기다. 실제로 보호자들 중에서도 반려견에게 바늘을 꽂아야 한다는 사실에 마음 아파하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공혈견 아이들을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은 헌혈밖에는 없다. 아파서 쓰러져가는 반려견을 누가 도울 것인지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 헌혈을 하지 않는다면 공혈견이 이 짐을 지어야 한다는 것인데 그건 너무 이기적인 발상이다. 1년에 딱 한번 헌혈을 하기 위해서 1시간 남짓한 시간을 약간의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하는 것은 절대 동물학대가 아니다. 그 정도의 작은 희생도 없다면 공혈견은 결국 남의 나라 얘기가 되는 것이다.
-헌혈견이 많아지기 위해서 제도적·법적으로 뒷받침됐으면 하는 부분이 있으시다면?
전국적으로 헌혈을 할 수 있는 곳이 많지가 않다. 협회랑 연계한 병원은 2곳으로 모두 수도권에 몰려있다. 많은 병원을 바라는 게 아니라 각 권역별로 하나씩만 헌혈이 가능한 병원이 생기길 바란다. 헌혈을 하기 위해 서울까지 올라오기가 상당히 힘들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거점 병원이 하나씩만 지정된다면 대형견 보호자들이 자발적으로 헌혈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최종 목표는?
강아지들의 적십자사 역할을 할 수 있는 작은 병원을 하나 짓는 것이 목표다. 대형견 보호자들은 헌혈을 하고, 헌혈견은 건강적인 혜택을 지원받을 수 있는 병원. 지금은 헌혈 가능한 병원을 찾고 협회와 연계하는 것이 가장 힘들다. 자발적인 헌혈이 안정적으로 갈 수 있는 병원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최종 목표다.
-헌혈이 가능한 대형견 보호자들에게 한마디 해주신다면?
우리 반려견들도 언젠간 나이가 들고 아프게 된다. 아팠을 때 헌혈을 받아야 하는 질병에 걸릴 수도 있고 그때는 다른 강아지로부터 도움을 받아야 한다. 미리 보험을 든다고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다. 반려견들 건강하고 힘 좋을 때 헌혈 좀 해주시고, 나중에 반려견이 아프거나 약해졌을 때 헌혈을 받는 서로 도와주고 도움을 받는 관계가 만들어지길 바란다.
글 김민지 기자 mingk@seoul.co.kr
영상 박홍규, 문성호 기자 goph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