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사회로 가는 길] 신뢰도 조사 한규섭 서울대 교수
서울신문과 공동으로 공공기관의 신뢰도 조사를 수행한 한규섭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4일 “공공기관에 대한 우리 사회의 신뢰도가 바닥이라는 사실이 여실히 드러났다”면서 “국민이 정부를 신뢰하지 못하니 문재인 대통령 개인의 능력에 기대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신문의 ‘신뢰사회로 가는 길’ 기획을 통해 우리 사회에 신뢰가 회복되고 정부도 신뢰받는 정부로 거듭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한 교수와의 일문일답.한규섭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국민이 공공기관의 직무수행 능력을 매우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긍정 평가는 평균 27.8%에 불과했고, 가장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헌법재판소도 42.4%로 ‘과반의 신뢰’를 얻지 못했다. 특히 문재인 정부 들어서 ‘적폐’ 내지 ‘개혁 대상’으로 지목된 국가정보원과 국방부, 방송통신위원회에 대한 긍정 평가는 20%에도 미치지 못했고, 부정 평가는 60%를 웃돌았다.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크게 높았는데.
-문 대통령은 68.2%를 기록하며 33개 공공기관의 평균보다 약 2.5배 높았다. 이는 국민이 공공기관을 신뢰하지 못해 대통령 개인에게 큰 기대를 걸고 있다는 방증이다. 국민이 한국 사회가 시스템보다, 대통령의 개인기와 리더십에 더 큰 기대감을 갖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여론조사를 통한 평가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여론조사를 통해선 국민이 공공기관에 대해 어떤 평가를 내리는지 알 수 있지만, 왜 그런 평가를 받게 됐는지 그 이유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또 여론조사는 모든 공공기관에 대한 일률적인 선택지를 제공할 수밖에 없다. 모든 공공기관에 대해 각기 다른 가설을 세워 평가 이유를 조사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나 언론 보도에는 공공기관의 업무나 정책, 잘못한 점 등이 모두 담겨 있다. 언론이 공공기관에 대해 어떤 논조로 보도했는지를 분석하면 국민이 기관에 대해 왜 그런 평가를 내렸는지 알 수 있다. 그래서 올해 1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33개 공공기관과 관련해 생산된 약 21만건의 기사를 조사하는 빅데이터 분석 방식을 택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도출된 신뢰지수의 의미는.
-정부 기관에 대한 평판 조사는 이전에도 실시된 적이 있다. 하지만 33개 개별 공공기관의 평판을 여론조사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평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각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들이 이번 조사를 계기로 국민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업무 능력과 이미지를 개선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길 기대한다.
특별기획팀 kisukpark@seoul.co.kr
2017-12-05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