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진받다 ‘조영제 부작용’ 사망…의사 집행유예

검진받다 ‘조영제 부작용’ 사망…의사 집행유예

입력 2017-01-08 10:07
업데이트 2017-01-08 10: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영제 부작용으로 실신한 적이 있는 70대에게 건강검진을 하면서 조영제를 투여하도록 해 숨지게 한 의사가 1심에서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부산지법 형사7단독 조승우 판사는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기소된 의사 A 씨에게 금고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고 8일 밝혔다.

또 업무상 과실치사와 의료법 위반으로 기소된 방사선사 B 씨에게는 벌금 500만원을 선고했다.

판결문을 보면 A 씨는 2013년 12월 자신이 근무하는 병원에서 이모(78) 씨에게 한 달 후 정기검진을 받도록 권유하면서 조영제 투여가 필요한 CT 검사를 시행하도록 했다.

방사선사 B 씨는 2014년 1월 8일 이 씨를 상대로 CT 검사를 하면서 이 씨에게 조영제 부작용이 있음을 의사에게 보고하지 않고 조영제를 투여했다.

이 씨는 다음 날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숨졌다. 이 씨는 2012년 11월 말에도 조영제를 맞고 CT 검사를 받은 직후 의식을 잃고 쓰러져 응급실에서 진료를 받았다.

A 씨 등이 일하는 병원 진료정보시스템은 이 씨가 조영제 부작용이 있다는 사실을 팝업창으로 띄웠기 때문에 두 사람 모두 이 씨에게 조영제 부작용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도 업무상 주의의무를 다하지 않아 이 씨가 사망한 것으로 조 판사는 판단했다.

조 판사는 “사망진단서 등을 보면 이 씨가 조영제 투여 부작용에 따른 쇼크로 다발성 장기부전이 발생해 숨진 것으로 판단된다”며 “조영제 투여 부작용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환자임을 알면서도 부작용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조치를 하도록 다른 의사에게 지시하거나 부탁하지 않고 조영제 투여를 지시해 업무상 과실이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어 “방사선사 B 씨는 의료인이 아닌데도 이 씨에게 조영제 부작용이 있다는 팝업창에 뜬 경고사항을 주치의나 영상의학과 의사와 상의하지 않고 조영제를 투여한 과실이 있다고 인정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