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축수업·도시락지참, 빵·우유 대체도 다수
영양사와 급식조리원 등 학교 비정규직 파업에 따라 9일 전국 공립 초중고교 933곳에서 급식이 중단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파업으로 전국 933개 학교의 급식이 중단된 가운데 9일 오전 서울 정부청사 후문 앞에서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회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날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회원들은 호봉제 도입, 교육감 직접고용 등을 주장했다. 현재 조리사, 영양사, 행정실무원, 영어회화 전문강사 등 도내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는 6천800여명이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전국 9천647개 학교의 9.7%로 10곳 가운데 1곳이 급식을 중단한 것이다.
경기지역은 2천226개 학교 중 276개 학교에서 급식 차질이 빚어진 가운데 150개 학교는 아예 중단했다.
급식 중단 학교 중 59개 학교는 오전 수업만 하기로 했고 91개 학교는 학생들에게 점심도시락을 챙겨 등교하도록 했다.
각 학교는 급식중단 사실을 각 가정에 사전에 통보한 상태다.
나머지 학교 가운데 99개교는 빵과 우유 등 대체식품을 학생들에게 지급하기로 했으며 27개 학교는 식단을 간소화한 가운데 교직원들을 배식에 투입할 계획이다.
전남지역은 전체 837개 초중고교 가운데 147개교, 광주지역은 312개 유치원과 초중고교 가운데 96개교가 급식을 중단했다.
이 지역 급식 중단 학교들 역시 학생들에게 도시락을 지참하도록 하거나 빵이나 우유 등 대체식품을 공급할 예정이다. 31개 학교는 단축수업을 하기로 했다.
울산지역에서도 6개 학교가 급식을 중단한 상태에서 학생에게 도시락을 지참하도록 했다.
이밖에 각 시도교육청이 8일 파악한 결과 서울지역 7개 학교, 전북지역 60여개 학교, 대구지역 34개교, 인천지역 15개교에서도 이날 급식에 어려울 것으로 예상됐다.
이날 파업에는 행정실무사와 청소원, 초등돌봄전담 강사, 통학차량보조원 등도 참여했으나 급식과 달리 큰 차질이 빚어지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각 시도교육청은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파업에 대비해 분야별 대책을 마련해 각 학교에 시달했다.
급식의 경우 학교 상황에 따라 단축수업, 현장체험학습, 도시락 지참, 운반 급식, 영양교사 순회근무 등을 하도록 했다.
특히 급식 중단 시 저소득층 자녀들이 결식을 하는 일이 없도록 철저한 대책을 마련하도록 했다.
초등돌봄 업무나 스포츠 전문 강사 등의 업무에는 기존 교사들을 투입하도록 했다.
민주노총 산하 3개 비정규직 노조의 연합체인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지난 7일 광화문 정부중앙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날 1차 파업에 들어간다고 예고했다.
연대회의는 이에 앞서 지난달 23일부터 지난 6일까지 조합원 3만3천905명 중 2만5천175명(투표율 74.2%)이 참여한 가운데 실시한 파업 찬반투표에서 재적 인원의 과반인 2만2천967명(찬성률 91.2%, 재적 대비 67.7%)이 찬성함에 따라 파업을 결정했다.
이들은 ‘호봉제 시행’, ‘교육감 직접고용’, ‘교육공무직 법안제정’ 등 처우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연대회의는 일단 이날 하루 파업한 뒤 교육당국과 협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2차, 3차 파업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