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정은 父子 북·중 교류
이번 북한 최고위급 인사의 중국 베이징 방문은 2000년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방문 목적과 비슷하다. 김정일 위원장도 첫 남북 정상회담을 2주 앞두고 중국을 비공식 방문했다. 정상회담을 앞두고 북·중 관계를 복원하고 의견을 조율하기 위한 움직임이었다.●북·중 관계 복원 목적도 ‘판박이’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가장 먼저 중국을 방문한 북한 고위급 인사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고모부인 장성택 당시 노동당 행정부장이었다. 장성택은 2012년 8월 나선경제무역지대 공동 개발 북측 위원장 자격으로 중국을 방문했고 후진타오 당시 중국 국가주석은 장성택을 특사급으로 예우했다. 하지만 북한이 2012~2013년 장거리 로켓 발사와 3차 핵실험을 강행한 데 이어 친중파로 분류된 장성택이 2013년 12월 처형되면서 북·중 관계는 얼어붙었다.
이후 최룡해 노동당 비서가 2015년 9월 중국의 전승절 행사 참석을 위해 베이징을 방문했을 때 시진핑 주석과의 단독 면담은 성사되지 않았다. 2016년 6월에는 노동당 대표단장 자격으로 중국을 방문한 리수용 당 부위원장이 시 주석을 만나 김정은 위원장의 인사와 구두 친서를 전했다.
●김정은, 장성택 처형 후 북·중 냉각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1994년 최고 권력자가 된 이후 8차례 중국을 방문했다. 김 국방위원장은 2000년 5월 29일부터 사흘간 장쩌민 당시 중국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중국을 방문해 정상회담을 하고 1992년 한·중 수교로 다소 소원해진 북·중 관계 복원에 주력했다. 김 국방위원장은 이후 2001년 1월과 2004년 4월, 2006년 1월 중국을 집중 방문하면서 후진타오 당시 주석 등 중국 4세대 지도자들과 친분을 쌓고 경제협력 문제 등에 대한 논의도 심도 있게 이뤄졌다.
김 국방위원장은 건강이 악화되고 북한의 1·2차 핵실험 이후 양국 관계가 나빠진 2010년 5월 다섯 번째로 중국을 방문했을 때도 중국의 경제 발전 모델을 수용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으나 중국 측으로부터 만족할 만한 지원을 얻지 못했다. 김 국방위원장의 방중은 중국과의 협력을 통한 원조와 경제발전이 주목적으로 대내외적으로 곤경에 처했을 때 유일하게 의존할 ‘혈맹’이 중국이라는 당시의 시각을 반영한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8-03-28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