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北사이버위협 공동대처 본격화

한·미, 北사이버위협 공동대처 본격화

입력 2014-02-08 00:00
업데이트 2014-02-08 03: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양국 軍당국 첫 실무협의회

한·미 군 당국이 처음으로 사이버 테러 위협에 공동대처하기 위해 실무협의회를 열고 정보 공유를 본격화하기로 했다. 지난해 연이어 발생한 북한의 사이버전 수행 능력이 그만큼 심각하다는 인식을 반영한 조치로 풀이된다.

국방부는 7일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제1차 국방 사이버정책실무협의회(CCWG)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장혁 국방부 정책기획관과 존 데이비스 미국 국방부 사이버정책부차관보 대리가 참석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양국은 사이버 가상 공격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토의식 연습을 진행했고 위기 대응과 관련해 취약점이 무엇인지 분석했다”면서 “신종 기술 등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대응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북한은 사이버전을 비용 대비 효과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공격 수단으로 보고 사이버전 인력과 조직을 적극적으로 양성해 왔다. 일명 ‘121국’이라고 불리는 정찰총국 산하 전자정찰국과 사이버전지도국은 3000여명의 정예 해킹 요원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관은 지난해 6월 청와대 홈페이지와 국내 언론사 등 16개 기관 사이트를 마비시켰고 3월에는 KBS 등 언론사와 금융기관의 전산망을 동시다발적으로 해킹 공격한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은 2000년대 초반 미국 중앙정보국(CIA)과 국방부 등 미군 관련 홈페이지에 가장 많은 접속 기록을 남긴 것으로 알려졌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4-02-08 4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