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만 빠져…충격과 실망” 제주 4·3단체 韓 추념식 불참 비판

“한동훈만 빠져…충격과 실망” 제주 4·3단체 韓 추념식 불참 비판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4-02 17:46
수정 2024-04-02 17: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총괄 선거대책위원장이 2일 오후 대전 유성 침신대네거리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2024.4.2 대전 안주영 전문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총괄 선거대책위원장이 2일 오후 대전 유성 침신대네거리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2024.4.2 대전 안주영 전문기자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가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제76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에 불참하는 것을 두고 실망감을 드러냈다.

제주4·3희생자유족회와 제주4·3연구소, 제주4·3도민연대 등으로 구성된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는 2일 성명을 통해 “(4·3 희생자 추념식에) 윤석열 대통령의 불참 소식에 이어 한동훈 위원장의 불참 소식이 전해졌다”며 “제주4·3을 대하는 이 같은 정부 여당의 태도에 매우 큰 충격과 실망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번 추념식에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 김준우 녹색정의당 대표, 오영환 새로운미래 선거대책위원장, 윤희숙 진보당 대표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제주4·3기념사업위원회는 “그동안 4·3 추념식에 대통령과 달리 여야 각 정당 대표가 불참한 사례는 거의 없다. 선거 운동기간 단 한 번도 제주를 찾지 않은 한동훈 위원장이 4·3추념식까지 참석하지 않는 것은 제주도민에 대한 기본적인 예의마저 져버린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그러면서 “제주4·3희생자추념일은 여야의 정파 논리로 재단될 수 없는 날”이라며 “한동훈 위원장은 4·3추념식에 참석하는 것만이 3만 영령과 10만 유족, 70만 제주도민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일 것”이라고 밝혔다.

4·3사건은 1947년 3월 1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남로당 무장대와 토벌대 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다수의 주민이 희생당한 사건이다. 1947년 3·1절 기념 제주도대회에서 경찰이 발포하여 민간인 6명이 숨지는 사건이 발단이 됐다. 4·3이라는 명칭은 1948년 4월 3일에 발생했던 대규모 소요사태에서 유래했다.

올해 추모식은 3일 제주 4·3평화공원에서 열릴 예정이다. 여당에서는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인요한 국민의미래 선대위원장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