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이 하면 우리도 한다”…軍 ‘원형 보존 고성 GP’ 복원 맞불

“北이 하면 우리도 한다”…軍 ‘원형 보존 고성 GP’ 복원 맞불

최재헌 기자
최재헌 기자
입력 2023-11-29 08:36
수정 2023-11-29 08: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남북 분단과 냉전을 상징하는 군사 시설물인 강원 고성 동해안 감시초소(GP)가 등록문화재가 된다.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이후 남측 지역에 설치된 최초의 감시초소다. 서울신문DB
남북 분단과 냉전을 상징하는 군사 시설물인 강원 고성 동해안 감시초소(GP)가 등록문화재가 된다.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이후 남측 지역에 설치된 최초의 감시초소다. 서울신문DB
북한이 9·19 남북군사합의 파기를 선언한 이후 비무장지대(DMZ) 내 최전방 군사초소(GP) 복원 작업에 들어간 가운데 우리 군 당국도 철수한 11개 최전방 GP 중 강원도 고성에 있는 ‘원형 보존 GP’부터 복원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북한 측 경비요원들이 권총을 착용하는 등 북한이 군사 조치를 잇달아 복원하자 ‘비례성 원칙’에 따라 우리 군도 맞대응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29일 복수의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군 당국은 지난 2018년 체결된 9·19 군사합의에 따라 인력과 장비를 철수했지만 원형이 보존된 고성 ‘369GP’를 복원할 방침이다. 남북은 5년 전 군사합의에 따라 비무장지대(DMZ) 내에서 운영 중이던 각각 11개 GP 중 10개를 완전히 파괴했고, 나머지 1개는 양측 모두 병력과 장비는 철수하되 원형은 보존하기로 했다.

원형이 보존된 고성 369GP는 1953년 정전협정 체결 후 DMZ 내 남측 지역에 처음으로 설치된 GP로 문화재청은 이런 상징성을 고려해 지난 2019년 ‘문화재’(통일역사유물)로 등록했다.

이미지 확대
북측 경비군인 3명이 군사분계선(MDL) 북쪽에 있는 판문각을 나와 근무지로 이동하고 있다. 판문점 사진공동취재단
북측 경비군인 3명이 군사분계선(MDL) 북쪽에 있는 판문각을 나와 근무지로 이동하고 있다. 판문점 사진공동취재단
군 당국이 369GP부터 복원하기로 한 것은 원형 보존돼 당장 기능 복원이 쉽기도 하지만 작전적으로 중요한 동부전선 최동북단에 있기 때문이다. 2020년 11월 동부전선 최전방 철책을 넘어 귀순한 탈북민이 1년여 만에 다시 월북하는 사건이 벌어진 지역도 369GP 인근이다.

군 당국은 우선 고성 보존 GP부터 복원하고 나머지 파괴된 10개 GP는 북한군의 GP 복원 작업을 보면서 맞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일부 GP만 복원하는 것은 아니다”며 “상대방(북한)이 복원하면 우리도 맞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9·19 군사합의 당시 군이 작전적으로 중요하다는 이유로 폐쇄에 반대했던 GP들이 우선 복원될 것으로 보인다. 군의 한 관계자는 “군사합의 체결 당시 (전방에 배치된) 사단별로 정보작전 차원에서 GP 폐쇄에 반대하는 의견들은 있었다”고 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