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대표단을 이끌고 러시아를 공식방문했던 최선희(외무상)가 19일 귀국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최선희로선 기분 좋은 방문길이었을 듯 합니다. 외무상에 취임한 이후 처음으로 단독 해외방문이었는데 세르게이 라브로프(러시아 외무부 장관)는 물론이고 블라디미르 푸틴(러시아 대통령)까지 만났기 때문입니다.
크렘린궁에서 최선희와 푸틴이 구체적으로 무슨 대화를 나눴는지는 알 수 없지만 단서는 있습니다. 공개된 사진을 보면 최선희 수행원이 들고 있는 서류에 ‘우주기술분야 참관대상목록’이라는 제목이 보입니다. 북한으로선 우주기술분야 핵심 현안은 역시 군사정찰위성입니다. 통상 이런 사진은 엄격한 검토를 거친다는 걸 고려하면 북러가 ‘우리 친해요’를 과시하기 위해 일부러 그랬을 거라고 보는 게 타당할 듯 합니다.
이번 방문길에는 조춘룡(조선노동당 군수공업부장)도 배석했습니다. 포탄을 비롯한 무기거래 등 군사협력이 있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거기다 푸틴이 평양을 방문하는 일정을 조율했을 가능성도 높습니다. 푸틴은 2000년 7월 평양을 방문한 적이 있으며, 지난해 9월 연해주에서 열린 북러 정상회담에서 김정은(조선노동당 총비서)의 초청을 수락했습니다.
북한이 중국 뿐 아니라 북러 협력을 강화하면 이는 곧 ‘한미일 대 북중러’ 경쟁구도가 굳어지는 것으로 평가받습니다. 그런데 이 대목에서 흥미로운 건 중국의 반응입니다. 마오닝(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18일 브리핑에서 최선희가 러시아를 방문한 것에 대해 “러시아와 조선 사이의 양자 교류”라며 말을 아꼈습니다.
외교안보 분야 전문가들 사이에선 도식적인 ‘북중러’ 협력구도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북중 협력도 맞고 북러 협력도 맞지만 북중러로 보는 건 조심스럽다는 것입니다. 왜 그럴까요?
익명을 요구한 전직 외교부 고위관계자는 “북중러 협력구도라는 것 자체가 허상이다. 그런 말 자체를 쓰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중국으로선 북한-러시아와 어깨걸고 삼각협력을 추구할 이유가 별로 없다”고 말합니다. 한마디로 “북중러 협력구도라는 인식틀 자체가 북한과 러시아의 의도를 반영하는 것이고 중국은 아니다”는 것입니다. 그는 “현재 구도를 북중러 밀착으로 보는 건 근거가 취약하다. 김정은이 중국과 러시아 사이에서 줄타기하는 것처럼 얘기하는 사람도 있지만 실제로는 그냥 러시아 편중외교일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박형중(통일연구원 석좌연구위원) 역시 “북중러가 일치된 이익을 가졌다고 보긴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북한 입장에서는 북중러가 한패가 됐다는 것을 강조할 필요가 있지만 실제로는 러시아와 중국의 이해관계가 일치하지 않는다”면서 “중국으로선 경제상황을 고려할 때 한미일과 너무 긴장이 고조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데 북한이 너무 앞서나갈 경우 중국 압박 받을 수 있는 처지다”고 지적했습니다.
중국과 러시아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며 최대한 실리를 얻어내는 건 북한 정부수립 이래 일관된 외교노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동안 중국과 밀착하는 듯 보였던 북한은 이제 러시아와 우호관계를 과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곧 중국을 향한 무언의 시위라는 측면도 적지 않습니다. 중국 역시 그 점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무작정 북한 편을 들어주기도 쉽지는 않습니다. 70년을 넘게 이어온 북중러 세 나라의 ‘밀고 당기기’는 오늘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사실 따지고 보면 북중러가 보여주는 밀당이야말로 ‘외교란 이런 것이다’는 걸 보여주는 교과서같은 사례가 아닐까 싶습니다.
크렘린궁에서 최선희와 푸틴이 구체적으로 무슨 대화를 나눴는지는 알 수 없지만 단서는 있습니다. 공개된 사진을 보면 최선희 수행원이 들고 있는 서류에 ‘우주기술분야 참관대상목록’이라는 제목이 보입니다. 북한으로선 우주기술분야 핵심 현안은 역시 군사정찰위성입니다. 통상 이런 사진은 엄격한 검토를 거친다는 걸 고려하면 북러가 ‘우리 친해요’를 과시하기 위해 일부러 그랬을 거라고 보는 게 타당할 듯 합니다.
이번 방문길에는 조춘룡(조선노동당 군수공업부장)도 배석했습니다. 포탄을 비롯한 무기거래 등 군사협력이 있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거기다 푸틴이 평양을 방문하는 일정을 조율했을 가능성도 높습니다. 푸틴은 2000년 7월 평양을 방문한 적이 있으며, 지난해 9월 연해주에서 열린 북러 정상회담에서 김정은(조선노동당 총비서)의 초청을 수락했습니다.
북한이 중국 뿐 아니라 북러 협력을 강화하면 이는 곧 ‘한미일 대 북중러’ 경쟁구도가 굳어지는 것으로 평가받습니다. 그런데 이 대목에서 흥미로운 건 중국의 반응입니다. 마오닝(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18일 브리핑에서 최선희가 러시아를 방문한 것에 대해 “러시아와 조선 사이의 양자 교류”라며 말을 아꼈습니다.
외교안보 분야 전문가들 사이에선 도식적인 ‘북중러’ 협력구도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북중 협력도 맞고 북러 협력도 맞지만 북중러로 보는 건 조심스럽다는 것입니다. 왜 그럴까요?
익명을 요구한 전직 외교부 고위관계자는 “북중러 협력구도라는 것 자체가 허상이다. 그런 말 자체를 쓰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중국으로선 북한-러시아와 어깨걸고 삼각협력을 추구할 이유가 별로 없다”고 말합니다. 한마디로 “북중러 협력구도라는 인식틀 자체가 북한과 러시아의 의도를 반영하는 것이고 중국은 아니다”는 것입니다. 그는 “현재 구도를 북중러 밀착으로 보는 건 근거가 취약하다. 김정은이 중국과 러시아 사이에서 줄타기하는 것처럼 얘기하는 사람도 있지만 실제로는 그냥 러시아 편중외교일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박형중(통일연구원 석좌연구위원) 역시 “북중러가 일치된 이익을 가졌다고 보긴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북한 입장에서는 북중러가 한패가 됐다는 것을 강조할 필요가 있지만 실제로는 러시아와 중국의 이해관계가 일치하지 않는다”면서 “중국으로선 경제상황을 고려할 때 한미일과 너무 긴장이 고조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데 북한이 너무 앞서나갈 경우 중국 압박 받을 수 있는 처지다”고 지적했습니다.
중국과 러시아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며 최대한 실리를 얻어내는 건 북한 정부수립 이래 일관된 외교노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동안 중국과 밀착하는 듯 보였던 북한은 이제 러시아와 우호관계를 과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곧 중국을 향한 무언의 시위라는 측면도 적지 않습니다. 중국 역시 그 점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무작정 북한 편을 들어주기도 쉽지는 않습니다. 70년을 넘게 이어온 북중러 세 나라의 ‘밀고 당기기’는 오늘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사실 따지고 보면 북중러가 보여주는 밀당이야말로 ‘외교란 이런 것이다’는 걸 보여주는 교과서같은 사례가 아닐까 싶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간) 모스크바 크렘린궁 접견실에서 최선희 북한 외무상과 만나고 있다. 2024.1.16 크렘린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