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진복 정치부 기자
계파 갈등이 사라진 이유로는 무엇보다 ‘분당 사태’를 꼽을 수 있겠습니다. 20대 총선 전 비주류 의원들이 대거 탈당했기 때문에 계파끼리 충돌할 일도 줄었다는 것입니다.
여기에 더민주에 잔류한 비주류 진영마저 점점 세가 약화되는 양상입니다. 김한길 전 의원과 같은 좌장 역할이 사라지면서 구심점을 잃었다는 평가입니다.
이번 전당대회에서도 더민주 내 비주류 진영의 달라진 위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주류 후보군이었던 김부겸·박영선 의원이 잇따라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더민주 전대는 송영길·추미애 의원의 ‘양강 구도’로 굳어졌습니다. 여기에 다크호스로 떠오른 원혜영 의원까지 3명 모두 범주류에 속합니다.
현재 당권 출마 가능성이 언급되는 비주류 인사는 이종걸·신경민 의원 정도에 그칩니다. 하지만 이들도 비주류 진영의 전폭적인 지지를 보장할 수 없다는 점에서, 선뜻 당권 경쟁에 나서지 못한다는 후문입니다. 앞서 원내대표 및 국회의장 경선에서도 당내 역학 구도가 고스란히 반영됐습니다. 원내대표 경선에 출마한 비주류인 강창일·민병두·이상민·노웅래 의원 모두 결선 진출의 문턱조차 넘지 못했습니다. 국회의장 경선에서도 범주류로 분류되는 정세균·문희상 후보가 121표 중 106표라는 압도적인 지지를 얻었습니다.
당내 고질병이었던 ‘계파 갈등’이 해소되며 이른바 ‘태평성대’를 맞은 더민주. 하지만 당내에서는 이러한 상황에 마냥 안주할 수만은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전당대회부터 범주류 진영의 독무대가 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벌써부터 맥이 빠졌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당의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주류와 비주류 진영 간 최소한의 견제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옵니다.
한 비주류 진영 의원은 “이대로 당이 무난하게 가다가는 대선 국면에서도 국민들의 관심도가 떨어질 것”이라며 아쉬움을 드러냈습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6-07-06 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