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재준·김장수 경질’ 초강수
박 대통령은 이들에 대해 “사표를 수리했다”고 밝혔지만, 현 정부의 초대 정보기관의 수장인 남 원장이 줄곧 정쟁의 한복판에 서 있었다는 점에서 경질로 해석될 측면도 있다. 국정원 대선 댓글 사건과 2007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노무현 대통령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 논란과 관련한 정상회담 대화록 공개로 여야의 대치 국면을 야기했다. 남 원장은 지난달 15일 국정원의 간첩 증거 조작 사건과 관련한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하며 위기를 맞았지만 이튿날 세월호 참사가 터지면서 기사회생하는 듯했다.
김 실장의 교체는 지난달 23일 “국가안보실은 재난 컨트롤타워가 아니다”라는 ‘책임 회피성 발언’이 파문을 일으킨 데 따른 문책 성격이 강하다. 김 실장의 이 같은 태도는 박 대통령과 청와대 전체로 불똥이 튀었다. 국정 책임을 안전행정부와 해양수산부 등 부처로 미룬다는 불신을 키웠다.
북한의 4차 핵실험 위협 등 안보 상황이 우려되는 가운데 나온 두 사람의 퇴장은 박 대통령이 현 시국을 매우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방증하는 것이자 향후 민심 수습을 위한 동력 확보가 절실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명박 정부에 이어 현 정부에서도 유임된 김관진 국방부 장관의 교체 가능성은 커지고 있다. 청와대 내 외교안보 부문의 수석비서관 개편 여부도 변수로 떠올라 현 정부 출범 1년 3개월 만에 2기 외교안보 라인이 구축될 여지도 적지 않다.
그러나 대북 기조의 변화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 7명 중 절반 정도가 군 출신으로 유연성을 발휘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제기돼 왔다.
박 대통령이 그동안 외교안보 정책을 직접 관리·결정했다는 점에서 참모들의 교체가 기조에 영향을 미칠지는 두고 봐야 할 부분이다. 세월호 참사로 미뤄진 통일준비위원회 출범과 맞물려 경색된 남북 관계의 국면 전환을 모색할 수도 있다.
정부 내에서는 군 출신의 재중용 여부와 외교 부문 인사들이 얼마나 약진할지 등 박 대통령의 후속 인사가 전체적인 방향성을 드러내는 신호가 될 것이라는 인식이다.
안석 기자 ccto@seoul.co.kr
2014-05-23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