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대선평가위원회가 26일 대선 패배의 책임을 물어 사실상 친노(친노무현) 등 주류 측의 퇴진을 요구했다.
민주당 한상진 대선평가위원장은 이날 “대선패배의 책임이 있는 세력이 공동으로 자숙하고 퇴진할 때 과거극복의 정의가 실현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회에서 대선평가위·한국선거학회 공동 주최로 열린 대선평가 토론회의 개회사에서다.
개회사는 사실상 대선평가위가 내달 초 내놓을 대선평가 중간보고서의 요약본으로 받아들여져 당내에 상당한 여파를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한 위원장은 지난 1일 민주당 워크숍에서도 대선 지도부 책임을 요구하는 등 인적청산론을 줄기차게 제기해왔다.
그는 이날 ‘암세포’, ‘해악’, ‘체질화된 패권적 조직문화’ 등의 표현을 동원하며 대선 패배 책임론뿐 아니라 민주당의 구조적인 문제점에 대해 적나라하게 지적했다.
우선 그는 대선 패배의 원인으로 “민주당의 대선패배는 불가피했던 것이 아니라 오만과 편견, 국민이 원하는 정권 재창출보다 당의 이익을 앞세우는 도덕적 해이의 결과”라고 진단하면서 “민주당을 병들게 한 집단적 무책임성, 패권적 분열적 체질의 실체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한 위원장은 평가보고서에 담을 내용으로 “지난해 총선 이후 당권을 계속 장악한 세력이 어떤 과오를 범했는지, 문재인 후보의 선대위가 당에 어떤 해악을 미쳤는지, 이른바 비주류 세력은 당의 발전을 어떻게 저해했는지 등”이라고 제시했다.
대선평가 작업의 가치적 기준점에 대해서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만들고 이끌었던 민주당의 역사 안에 상당히 체화된 고유한 상표인 포용과 소통의 정신”이라고 설정했다.
그러나 그는 “이 같은 정신이 어느 날 추방되고 군사문화를 모방한 운동권 체질의 정복적, 패권적 집단문화가 민주당에 이식돼 당이 심각한 내홍과 분열에 휩싸이게 됐다”고 문제점의 근원을 짚었다.
그러면서 “문제는 민주당이 자체의 잠재력을 모아 당에 퍼진 분열의 암세포를 이겨낼 수 있는가에 있다”면서 “그러면 민주당은 다시 일어설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민주당은 정말 무너질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그는 “포용과 소통 대신 동원 가능한 권력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상대를 압박하려는 체질화된 패권적 조직문화가 아름다운 단일화의 전제 조건, 즉 신뢰를 파괴시키는 주원인으로 작용했다”고 지적했다.
한 위원장은 현재 민주당이 5·4 전당대회 룰을 놓고 계파간 첨예한 갈등을 노출하고 있는데 대해서도 일침을 놓았다.
그는 “작은 권력에 도취돼 정당의 존재 이유를 망각하는 계파들의 치열하지만 지루하고 소모적인 다툼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곧 열릴 전대에서 이런 고질병이 다시 곪아 터질 것 같은 예감이 든다”고 비판했다.
이와 함께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선 이준한 인천대 교수는 “영호남간의 인구격차, 연령대별 유권자 구성비, 저소득층의 확대 등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서 “그런 상태에서 후보단일화 효과에 대한 안이한 기대와 저변을 확대하지 못하는 선거전략 등에 의해 대선에서 패배할 수밖에 없었다”고 분석했다.
박명호 동국대 교수는 “유력한 차기주자가 경쟁하는 구도가 정립되면 러더십의 위기를 완화시키면서 계파정치의 업그레이드도 가능하다”면서 “파격적인 세대교체는 새로운 민주당의 출발점”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민주당 한상진 대선평가위원장은 이날 “대선패배의 책임이 있는 세력이 공동으로 자숙하고 퇴진할 때 과거극복의 정의가 실현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회에서 대선평가위·한국선거학회 공동 주최로 열린 대선평가 토론회의 개회사에서다.
개회사는 사실상 대선평가위가 내달 초 내놓을 대선평가 중간보고서의 요약본으로 받아들여져 당내에 상당한 여파를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한 위원장은 지난 1일 민주당 워크숍에서도 대선 지도부 책임을 요구하는 등 인적청산론을 줄기차게 제기해왔다.
그는 이날 ‘암세포’, ‘해악’, ‘체질화된 패권적 조직문화’ 등의 표현을 동원하며 대선 패배 책임론뿐 아니라 민주당의 구조적인 문제점에 대해 적나라하게 지적했다.
우선 그는 대선 패배의 원인으로 “민주당의 대선패배는 불가피했던 것이 아니라 오만과 편견, 국민이 원하는 정권 재창출보다 당의 이익을 앞세우는 도덕적 해이의 결과”라고 진단하면서 “민주당을 병들게 한 집단적 무책임성, 패권적 분열적 체질의 실체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한 위원장은 평가보고서에 담을 내용으로 “지난해 총선 이후 당권을 계속 장악한 세력이 어떤 과오를 범했는지, 문재인 후보의 선대위가 당에 어떤 해악을 미쳤는지, 이른바 비주류 세력은 당의 발전을 어떻게 저해했는지 등”이라고 제시했다.
대선평가 작업의 가치적 기준점에 대해서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만들고 이끌었던 민주당의 역사 안에 상당히 체화된 고유한 상표인 포용과 소통의 정신”이라고 설정했다.
그러나 그는 “이 같은 정신이 어느 날 추방되고 군사문화를 모방한 운동권 체질의 정복적, 패권적 집단문화가 민주당에 이식돼 당이 심각한 내홍과 분열에 휩싸이게 됐다”고 문제점의 근원을 짚었다.
그러면서 “문제는 민주당이 자체의 잠재력을 모아 당에 퍼진 분열의 암세포를 이겨낼 수 있는가에 있다”면서 “그러면 민주당은 다시 일어설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민주당은 정말 무너질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그는 “포용과 소통 대신 동원 가능한 권력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상대를 압박하려는 체질화된 패권적 조직문화가 아름다운 단일화의 전제 조건, 즉 신뢰를 파괴시키는 주원인으로 작용했다”고 지적했다.
한 위원장은 현재 민주당이 5·4 전당대회 룰을 놓고 계파간 첨예한 갈등을 노출하고 있는데 대해서도 일침을 놓았다.
그는 “작은 권력에 도취돼 정당의 존재 이유를 망각하는 계파들의 치열하지만 지루하고 소모적인 다툼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곧 열릴 전대에서 이런 고질병이 다시 곪아 터질 것 같은 예감이 든다”고 비판했다.
이와 함께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선 이준한 인천대 교수는 “영호남간의 인구격차, 연령대별 유권자 구성비, 저소득층의 확대 등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서 “그런 상태에서 후보단일화 효과에 대한 안이한 기대와 저변을 확대하지 못하는 선거전략 등에 의해 대선에서 패배할 수밖에 없었다”고 분석했다.
박명호 동국대 교수는 “유력한 차기주자가 경쟁하는 구도가 정립되면 러더십의 위기를 완화시키면서 계파정치의 업그레이드도 가능하다”면서 “파격적인 세대교체는 새로운 민주당의 출발점”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