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친노(친노무현)ㆍ주류측이 지난해 6ㆍ9 전당대회와 대선 경선에 참여한 국민참여선거인단의 전대 참여보장을 요구하며 뒤늦게 ‘전대룰’에 제동을 걸고 나서면서 27일 중앙위 개최를 둘러싸고 전운이 감돌고 있다.
친노ㆍ주류측은 이날 중앙위에서 수정안 카드까지 꺼내 들며 집단행동에 돌입, 지난 22일 당무위를 통과한 전대룰 원안의 무산을 시도할 것으로 보여 주류ㆍ비주류간 표대결 속 정면충돌이 불가피해 보인다.
친노ㆍ주류측 현역의원 41명은 이날 중앙위에 앞서 성명을 내고 “당 혁신의 단초가 될 당헌ㆍ당규 개정안이 열린 정당으로 거듭나는 민주당의 길을 가로막아선 안된다”며 “6ㆍ9 전대와 대선 후보 경선시 참여한 국민참여선거인단은 당의 외연을 확대할 수 있는 소중한 자산으로, 이들의 참여를 배제시켜선 안된다”고 주장했다.
새 지도부 선출 방식과 관련, 국민참여선거인단 35만6천명(6ㆍ9 전대 6만명, 대선 경선 29만6천명)의 샘플을 추출해 이들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전체의 10% 정도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대의원 50% + 권리당원 30% + 일반국민 여론조사 20%’로 지도부를 뽑도록 한 당무위 안에 집단적으로 반기를 든 것으로, 친노ㆍ주류측은 자신들의 주장이 담긴 수정안을 중앙위에 제출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비주류측은 “어떻게든 당권을 내려놓지 않으려는 꼼수”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한 재선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이 존폐 위기에 선 상황에서 계파 유불리만 따지며 기득권을 지키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참여선거인단 35만6천명의 상당수는 친노ㆍ주류측이 경선 과정에서 동원한 그룹이어서 이들의 전대 참여를 보장함으로써 판을 유리하게 끌고 가려는 포석이라는 게 비주류의 인식이다.
비주류측은 친노ㆍ주류측의 집단 움직임과 맞물려 공교롭게 문재인 전 대선후보가 전날 대선 패배 이후 처음으로 국회 공식 일정에 모습으로 드러내며 정치활동 재개에 나선 것에도 경계심을 감추지 않고 있다.
친노ㆍ주류와 비주류가 팽팽하게 대립하는 상황에서 현재로선 원안과 수정안 어느쪽도 가결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전대룰에 대한 최종 의결권을 갖는 중앙위에서 전대룰 관련 당헌ㆍ당규 개정이 이뤄지려면 재적(421명)의 과반의 찬성을 얻어내야 하는데, 양쪽 모두 의결 정족수 확보가 녹록지만은 않은 실정이기 때문이다.
만일 원안과 수정안 모두 부결되는 시나리오가 현실화된다면 ‘전대 준비위 결정→당 혁신위 반발→비대위 결정→당무위 의결’ 등 우여곡절을 거쳐 진행돼온 당헌ㆍ당규 개정이 불발, 원점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새 지도부는 현행 당헌ㆍ당규대로 임시전대를 통해 선출된 뒤 한명숙 전 대표의 잔여임기(내년 1월까지)만 채우게 된다. 이마저도 전대 시기가 5월18일 뒤로 늦춰질 경우 전대 대신 중앙위에서 지도부를 뽑게 된다.
하지만 이 경우 비대위는 문희상 비대위원장 등 전원이 사퇴하겠다는 강경 입장인 것으로 알려져 당은 극심한 혼돈의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친노ㆍ주류측은 이날 중앙위에서 수정안 카드까지 꺼내 들며 집단행동에 돌입, 지난 22일 당무위를 통과한 전대룰 원안의 무산을 시도할 것으로 보여 주류ㆍ비주류간 표대결 속 정면충돌이 불가피해 보인다.
친노ㆍ주류측 현역의원 41명은 이날 중앙위에 앞서 성명을 내고 “당 혁신의 단초가 될 당헌ㆍ당규 개정안이 열린 정당으로 거듭나는 민주당의 길을 가로막아선 안된다”며 “6ㆍ9 전대와 대선 후보 경선시 참여한 국민참여선거인단은 당의 외연을 확대할 수 있는 소중한 자산으로, 이들의 참여를 배제시켜선 안된다”고 주장했다.
새 지도부 선출 방식과 관련, 국민참여선거인단 35만6천명(6ㆍ9 전대 6만명, 대선 경선 29만6천명)의 샘플을 추출해 이들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전체의 10% 정도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대의원 50% + 권리당원 30% + 일반국민 여론조사 20%’로 지도부를 뽑도록 한 당무위 안에 집단적으로 반기를 든 것으로, 친노ㆍ주류측은 자신들의 주장이 담긴 수정안을 중앙위에 제출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비주류측은 “어떻게든 당권을 내려놓지 않으려는 꼼수”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한 재선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이 존폐 위기에 선 상황에서 계파 유불리만 따지며 기득권을 지키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참여선거인단 35만6천명의 상당수는 친노ㆍ주류측이 경선 과정에서 동원한 그룹이어서 이들의 전대 참여를 보장함으로써 판을 유리하게 끌고 가려는 포석이라는 게 비주류의 인식이다.
비주류측은 친노ㆍ주류측의 집단 움직임과 맞물려 공교롭게 문재인 전 대선후보가 전날 대선 패배 이후 처음으로 국회 공식 일정에 모습으로 드러내며 정치활동 재개에 나선 것에도 경계심을 감추지 않고 있다.
친노ㆍ주류와 비주류가 팽팽하게 대립하는 상황에서 현재로선 원안과 수정안 어느쪽도 가결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전대룰에 대한 최종 의결권을 갖는 중앙위에서 전대룰 관련 당헌ㆍ당규 개정이 이뤄지려면 재적(421명)의 과반의 찬성을 얻어내야 하는데, 양쪽 모두 의결 정족수 확보가 녹록지만은 않은 실정이기 때문이다.
만일 원안과 수정안 모두 부결되는 시나리오가 현실화된다면 ‘전대 준비위 결정→당 혁신위 반발→비대위 결정→당무위 의결’ 등 우여곡절을 거쳐 진행돼온 당헌ㆍ당규 개정이 불발, 원점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새 지도부는 현행 당헌ㆍ당규대로 임시전대를 통해 선출된 뒤 한명숙 전 대표의 잔여임기(내년 1월까지)만 채우게 된다. 이마저도 전대 시기가 5월18일 뒤로 늦춰질 경우 전대 대신 중앙위에서 지도부를 뽑게 된다.
하지만 이 경우 비대위는 문희상 비대위원장 등 전원이 사퇴하겠다는 강경 입장인 것으로 알려져 당은 극심한 혼돈의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