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고운사 불상, 주왕산 계곡 화마에 피해…누적 33건

보물 고운사 불상, 주왕산 계곡 화마에 피해…누적 33건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5-04-01 19:50
수정 2025-04-01 19: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산불에 쑥대밭 된 마을, 피해조사 한창
산불에 쑥대밭 된 마을, 피해조사 한창 1일 경북 영덕군 영덕읍 석리 한 마을이 산불로 쑥대밭이 된 가운데 한국LPG사업관리원 관계자가 피해 상황을 조사하고 있다. 영덕 연합뉴스


영남권을 집어삼킨 대형 산불에 따른 국가유산 피해가 확인되고 있다.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최근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산불로 국가유산이 피해를 본 사례는 1일 오후 5시 기준 33건으로 집계됐다. 나흘 전 파악한 것보다 3건 늘었다.

보물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도 일부 피해를 본 것으로 확인됐다. 고운사 측은 앞서 불상은 불길이 닿지 않는 곳으로 옮겼으나, 받침인 대좌(臺座)까지 이동하지는 못했다. 불상과 광배(光背·빛을 형상화한 장식물), 대좌까지 함께 보물로 지정돼 있다.

경북 청송에서도 명승인 ‘청송 주왕산 주왕계곡 일원’은 북측 능선 일부가 불에 탔고, 수정사에서는 요사채가 전소됐다. 현장 조사 조사 이후 피해는 더 늘어날 수 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보존 상태를 점검한 뒤 본래 위치로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관리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가유산청은 향후 방염포와 관련한 기준 및 지침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방염포는 불꽃이 닿아도 일정한 넓이 이상으로 불이 번지지 않도록 처리한 천이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방염포를 설치하는 구체적 기준이나 지침은 없는 상태다.국가유산청은 이번 산불로 국가유산 재난 위기 경보를 ‘심각’으로 올린 상태다. 국가유산청은 “산불 위험 수위가 낮아질 때까지 ‘심각’ 단계를 유지할 것”이라며 “추후 현장 조사를 거쳐 복구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3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