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엔터테인먼트 인수전이 카카오가 경영권을 갖고 하이브는 플랫폼 협력을 하는 방향으로 마무리됐다. 사진은 경기도 판교 카카오 사옥(위), 서울 성동구 SM 사옥(가운데), 서울 용산구 하이브 본사. 연합뉴스
SM 인수전은 SM의 창업자인 이수만 전 총괄프로듀서 1인 체제의 이익 취득 구조가 문제되면서 시작됐다. 이씨의 개인 회사인 라이크기획이 SM 소속 아티스트의 자문 및 프로듀싱 명목으로 과도한 수익을 챙겨 온 ‘황제경영’이 폭로됐다. 축적된 공로가 크다지만 프로듀서 한 사람이 매출액의 15%를 가져가는 방식은 불합리했다. 행동주의펀드의 문제 제기로 도마에 오른 업계의 관행은 케이팝 성공 이면의 그늘 그 자체였다. 폐쇄적 경영 방식과 과도한 창업자 의존 시스템, 아티스트와의 불공정 계약 등 세계 무대를 주름잡는 케이팝의 위상과는 딴판인 전근대적 환경에 많은 사람들이 놀랐다. 이런 불합리가 가려진 채 글로벌 시장에서 케이팝의 경쟁력이 지속되리라는 것은 헛꿈이다. BTS 활동 중단 이후 안 그래도 케이팝의 성장 둔화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아진 마당이다.
이번 진통은 글로벌 수준의 종합엔터테인먼트로 도약하기 위해 한 번은 건넜어야 할 강이다. 카카오의 IT와 BTS를 배출한 하이브의 팬덤 플랫폼이 손잡으면 글로벌시장에서 케이팝 규모와 위상이 달라질 수 있다. 인수 경쟁이 끝이 아니라 투명한 경영, 체계적 제작 시스템 확립으로 케이팝 저변과 다양성을 크게 확대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 글로벌 메이저 음반사인 유니버설ㆍ소니ㆍ워너와 어깨를 겨루는 글로벌 콘텐츠 기업으로 도약하기를 기대한다.
2023-03-14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