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소년 사건, 범인은 인근 고교 일진” 한 네티즌 가설 온라인서 화제

“개구리소년 사건, 범인은 인근 고교 일진” 한 네티즌 가설 온라인서 화제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2-06-04 17:17
수정 2022-06-04 18: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91년 미제사건에 새로운 주장 제기
“버니어캘리퍼스로 두개골 내려친 듯”
“본드 흡입 중 삥 뜯으려다” 가설 세워
범인 못 밝힌 채 2006년 공소시효 만료
“타살 아냐” 당시 수사경찰 최근 주장

개구리소년 두개골 사진
개구리소년 두개골 사진 개구리소년들의 타살 추정에 중요한 근거로 제시된 우철원군 머리의 외상. 법의학팀은 25군데의 외상 흔적 가운데 끝이 사각형 모양인 예리한 물건에 의해 찍힌 흔적이 10여군데 나타났다”고 밝혔다. 2002.11.12 서울신문DB
국내 대표적인 장기 미제사건 중 하나인 ‘개구리 소년 실종·암매장 사건’에 대해 최근 한 네티즌이 범행도구와 범인을 추론한 글이 온라인에서 며칠째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에 재수사를 촉구하는 네티즌들의 의견도 잇따른다.

지난 1일 네이트판에 한 네티즌이 올린 ‘나는 개구리 소년 사건의 흉기를 알고 있다’는 제목의 글은 4일 오후 4시 현재 120만건이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며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퍼져나가고 있다.

글쓴이는 2011년 5월 14일 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대한민국 3대 미스터리 사건’ 중 하나로 개구리 소년 사건을 재조명한 방송에서 피해자 두개골의 손상 흔적을 본 순간 범행도구가 버니어캘리퍼스임을 알아챘다고 주장했다.

글쓴이는 “(전문가들은) 자꾸 용접망치 같은 걸로 때린 거라고 한다. 그런데 망치로 힘을 균일하게, 두개골을 뚫지 않고 자국만 남길 정도로 힘을 조절해서 저렇게 여러 개의 같은 자국을 남길 수 있는 사람은 이 세상에 없다. 세게 마구잡이로 쳐도 저렇게밖에 나올 수 없는 도구였다는 소리다. 그게 버니어캘리퍼스다”라고 말했다.

버니어캘리퍼스. 구글 캡처
버니어캘리퍼스. 구글 캡처
또한 글쓴이는 범인은 대구 와룡산 인근 고등학교의 일진(불량학생 무리)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글쓴이는 “산동네에서 자라본 남자들은 알 거다. (어릴 적에) 올챙이를 잡으러 (산에 자주) 갔다”면서 당시에는 동네 중·고등학생 불량배 무리를 만나는 일이 흔했다고 설명했다.

글쓴이는 “버니어캘리퍼스는 공업이나 기술 쪽 고등학교 학생들이 신입생 때 많이 들고 다닌다”며 “(선거일이었던 공휴일에) 일진들이 집에 안 들어가고 산에 올라 ‘뽀대기’(본드)를 불고 있었을 것”이라고 가정을 세웠다.

개구리소년을 찾는 전단지
개구리소년을 찾는 전단지 대구 개구리 소년 실종 4년 후인 지난 95년 발행됐던 전단지. 2002.9.26 연합뉴스
“산속에서 여럿이 본드를 불고 있다가 올라오는 아이들을 마주쳤고, 습관처럼 ‘뒤져서 나오면 몇 대’ 이러면서 돈을 뜯으려고 했을 것”이라고 가정을 이어간 글쓴이는 “두개골 상처가 난 아이가 도망을 치다 잡혔는지 어쨌는지는 모르겠지만 바로 가방 속에 있던 그 철제 버니어캘리퍼스로 미친 듯이 헤드락을 건 상태에서 같은 곳만 때린 것”이라고 추론했다.

글쓴이는 “물론 전원이 다 환각 상태는 아니었을 것”이라며 어설프게나마 죽은 아이들을 매장했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개구리소년 유골 감식작업
개구리소년 유골 감식작업 개구리소년들의 유골이 발견된 현장에서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법의학자들의 감식작업을 벌이고 있다. 2002.9.27 연합뉴스
글쓴이는 지도에 와룡산 인근 몇몇 학교를 표시하며 “버니어캘리퍼스를 들고 다닐 만한 학교가 딱 하나 있다”고 밝혔다. 다만 글쓴이가 표시한 학교들은 사건 당시엔 도시로 개발되기 전 산지였던 곳으로 네티즌들은 그보다 조금 먼 지역의 한 학교를 범인들의 출신 학교로 의심하고 있다.

이 같은 추론 글에 일부 네티즌들이 ‘버니어캘리퍼스로는 두개골을 깰 수 없다’ 등 반박하자 글쓴이는 이튿날인 2일 네이트판에 재반박 글을 올리며 자신의 주장을 이어갔다. 3일에 올린 ‘마지막글’에서는 피해자들의 두개골 손상 부위를 토대로 당시 범인들이 흉기로 내려쳤을 상황을 상세히 설명하기도 했다. 글쓴이는 그러면서 “사소한 것 하나라도 단서를 잡으려면 할 수 있는 모든 상상을 총동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개구리 소년 사건은 1991년 3월 26일 대구 달서구 성서 지역에 살던 다섯 명의 국민학교(초등학교) 학생들이 인근 와룡산에 올라갔다 동반 실종된 사건으로 국내에서 발생한 가장 유명한 어린이 실종 사건이다. 국내 단일 실종 사건으로는 최대 규모인 연인원 35만명의 수색 인력을 투입했지만 범인이나 실종 경위를 끝내 밝혀내지 못했다.

개구리 소년 합동분향소. 서울신문 DB
개구리 소년 합동분향소. 서울신문 DB
한동안 잠잠하던 이 사건은 발생 11년이 지난 2002년 9월 26일 실종 아이들이 와룡산 세방골에서 모두 유골로 발견되면서 충격을 던졌다. 당시 경북대 법의학팀이 유골 감정을 통해 ‘예리한 물건 등에 의한 타살’로 결론냈지만 범인을 잡지는 못했다. 이후 2006년 공소시효가 만료되면서 현재까지 미제로 남아 있다.

그러나 지난달 사건 발생 당시 수사책임자였던 김영규 전 총경(당시 대구경찰청 강력과장)이 당시 현장 취재기자였던 김재산 국민일보 대구경북본부장의 책 ‘아이들은 왜 산에 갔을까’에서 “개구리 소년 사건은 타살이 아니다”라는 주장을 하면서 사망 원인에 대한 다른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김 전 총경은 법의학팀이 타살의 근거로 제시한 두개골 손상이 사후에 생겼을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사망 후 유골이 발견될 때까지 11년 동안 여름에 비가 내리면서 날카로운 돌이 사체 쪽으로 떨어지고, 돌이 두개골을 가격해 생긴 ‘사후 골절흔’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유족 측에서는 “저체온증으로 죽었다는 건 말도 안 된다. 당시 초동 수색 실패와 수십년간 범인을 찾지 못한 경찰의 잘못을 덮기 위해 자연사라고 주장하는 것 아니냐”며 반박한 바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