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대학을 옮기자/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대학을 옮기자/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입력 2022-02-27 20:32
수정 2022-02-28 02: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오길영 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오길영 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대선 정국에서 가장 홀대받는 분야는 교육정책, 특히 고등교육정책이다. 그만큼 정치, 외교, 사회 분야의 굵직한 이슈가 많아서이기도 하지만 한국 사회에서 교육 문제는 수많은 이슈가 얽혀 있어 쉽게 풀기 힘든 문제라는 게 주된 이유로 보인다. 김종영 교수의 ‘서울대 10개 만들기’는 이 문제를 푸는 방도를 제시한다. 저자는 ‘왜 한국만 교육지옥인가?’라는 질문을 제기한다. 그 원인을 더 나은 상징자본(학벌 간판)을 얻기 위해 몰리는 병목현상이라고 설명한다. 학벌대학을 향한 고속도로에서 한 방향으로만 모두가 달리기 때문이다. 학벌대학 학위를 둘러싼 극심한 경쟁이 병목을 일으킨다. 병목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속도로를 넓혀야 한다. 서울대(수준) 10개를 전국에 만들어서 병목을 해결하자는 것이다.

 나는 이 책의 설명과 고뇌에 깊이 공감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무력감을 느낀다. 달걀로 바위를 두드리는 느낌이랄까. 그러나 설령 당장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더라도 그것이 문제라는 게 분명하다면 계속해서 부딪치고 해법을 고민하는 노력은 필요하다. 그 점에서 이 책을 읽으며 눈길을 끈 것은 지역(경제)과 대학의 관계를 설명한 대목이다. “도시의 성공 열쇠는 기업 유치가 아니라 인재를 끌어들이고 유지하는 것이다. 창조계층을 구성하는 지식 노동자, 교사, 예술가와 다양한 문화적 창조활동가들은 고임금 일자리가 많거나 노동시장이 두터운 곳, 그리고 훌륭한 레스토랑과 카페, 음악 공간, 해 볼 만한 것들이 많은 곳에 거주하고 있었다.”

 제안한다. 수도권 대학을 모두 비수도권으로 이전해 대학 중심 도시 수십개를 만들자. 미국 대학을 봐도 이런 주장이 몽상이 아니라는 걸 보여 준다. 하버드, 프린스턴 등 아이비리그 대학을 비롯한 명성 있는 사립대학, 버클리와 버지니아 대학 같은 명문 주립대는 대도시가 아니라 대학이 중심이 되는 소도시에 위치한다. 대학이 지역 고용의 상당수를 책임지고 지역경제의 핵심이 된다.

 지역균형발전의 바람직한 형태는 기업이 수도권을 떠나 각 지역으로 옮기는 것이다. 하지만 수도권이 지닌 힘이 블랙홀처럼 기업을 붙잡는다. 그에 따라 취업을 원하는 청년들도 수도권으로 몰려간다. 수도권 인구가 전체 인구의 50%를 넘어섰다. 기초지방 정부의 46%가 소멸 위기다. 서울로 이주하는 인구의 80%는 청년층이다. 사람이 사라지니 대학이 사라지고 지역은 소멸한다. 예컨대 최근 5년간 강릉지역 대학생 3600명이 감소하면서 연간 소비지출 규모가 278억원 줄어들었다.

 선택지는 둘이다. 수도권 집중화를 그대로 두고 수도권에 전체 인구와 대학이 모여 살고 다른 지역은 텅 비워 두는 것이다. 그 결과는 뻔하다. 아니면 대학을 지역으로 옮겨 거점 대학도시를 만드는 것이다. 대학이 살면 사람이 모이고 사람이 모이면 기업도 따라온다. 때로는 역발상이 필요하다.

2022-02-2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