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길영 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나는 이 책의 설명과 고뇌에 깊이 공감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무력감을 느낀다. 달걀로 바위를 두드리는 느낌이랄까. 그러나 설령 당장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더라도 그것이 문제라는 게 분명하다면 계속해서 부딪치고 해법을 고민하는 노력은 필요하다. 그 점에서 이 책을 읽으며 눈길을 끈 것은 지역(경제)과 대학의 관계를 설명한 대목이다. “도시의 성공 열쇠는 기업 유치가 아니라 인재를 끌어들이고 유지하는 것이다. 창조계층을 구성하는 지식 노동자, 교사, 예술가와 다양한 문화적 창조활동가들은 고임금 일자리가 많거나 노동시장이 두터운 곳, 그리고 훌륭한 레스토랑과 카페, 음악 공간, 해 볼 만한 것들이 많은 곳에 거주하고 있었다.”
제안한다. 수도권 대학을 모두 비수도권으로 이전해 대학 중심 도시 수십개를 만들자. 미국 대학을 봐도 이런 주장이 몽상이 아니라는 걸 보여 준다. 하버드, 프린스턴 등 아이비리그 대학을 비롯한 명성 있는 사립대학, 버클리와 버지니아 대학 같은 명문 주립대는 대도시가 아니라 대학이 중심이 되는 소도시에 위치한다. 대학이 지역 고용의 상당수를 책임지고 지역경제의 핵심이 된다.
지역균형발전의 바람직한 형태는 기업이 수도권을 떠나 각 지역으로 옮기는 것이다. 하지만 수도권이 지닌 힘이 블랙홀처럼 기업을 붙잡는다. 그에 따라 취업을 원하는 청년들도 수도권으로 몰려간다. 수도권 인구가 전체 인구의 50%를 넘어섰다. 기초지방 정부의 46%가 소멸 위기다. 서울로 이주하는 인구의 80%는 청년층이다. 사람이 사라지니 대학이 사라지고 지역은 소멸한다. 예컨대 최근 5년간 강릉지역 대학생 3600명이 감소하면서 연간 소비지출 규모가 278억원 줄어들었다.
선택지는 둘이다. 수도권 집중화를 그대로 두고 수도권에 전체 인구와 대학이 모여 살고 다른 지역은 텅 비워 두는 것이다. 그 결과는 뻔하다. 아니면 대학을 지역으로 옮겨 거점 대학도시를 만드는 것이다. 대학이 살면 사람이 모이고 사람이 모이면 기업도 따라온다. 때로는 역발상이 필요하다.
2022-02-2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