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군 위안부 연구 20년’ 김귀옥 교수
日 위안부 제도, 한국전쟁 때로 이어져채명신 장군 회고록 등에 기록돼 있어
성착취당한 위안부 전국에 300명 추정
軍 “확인 어려워… 위령사업 계획 없다”
“잘못된 역사 인정해야 日 책임도 성립… 2기 진실화해위원회서 진상규명 기대”
김귀옥 한성대 사회학과 교수
1996년 김 교수가 강원 속초 아바이마을에서 할머니, 할아버지들의 생애를 들을 때였다. “한국군 위안부가 있었다”는 말에 놀라 “일본군 위안부요?”라고 되물었다. 당시 주민들과 주둔했던 미군은 “군이 줄지어 서 있는 장면을 봤다. 낮엔 밥과 빨래 등을 하고, 밤엔 성착취를 당했다”고 증언했다.
위안부는 일반 병사들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한 ‘제5 보급품’이었다. 채명신 장군의 회고록 ‘사선을 넘고 넘어’에 이런 대목이 있다. “우리 육군은 사기를 북돋우려고 60여명을 1개 중대로 하는 위안부대 3, 4개를 운용했다. 예비부대로 빠지면 위안부대를 이용할 수 있었다. 장병들의 화제는 모두 위안부대 건이었다. 용감하게 싸워 공을 세운 순서대로 티켓을 나눠 줬고, 훈장을 받았다면 우선권을 줬다.”
1956년 육군본부가 출판한 ‘후방전사(인사편)’의 ‘특수 위안대’ 관련 내용을 종합하면, 서울 3개 소대와 강릉 3개 소대에 약 128명의 한국군 위안부가 있었다. 김 교수는 “춘천, 원주, 속초 등지와 1953년 추가된 4개 소대를 합하면 전국에 약 300명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특수위안대 실적 통계표’에 따르면 1952년 서울·강릉의 위안부 89명이 20만명이 넘는 군인을 ‘위안’했다. 위안부 1명이 하루 평균 6명 이상에게 성착취를 당한 것이다.
김 교수는 “북한 여성이나 부역자라는 죄목으로 여성들이 동원됐다”고 주장한다. 고 리영희 교수는 회고록 ‘역정’에서 “방공호에서 사병들의 동물적 욕구를 해소케 하는 은전을 베풀었는데, 병사 한 명이 자기 고향에서 흘러온 아가씨를 만나 눈물에 젖었다”고 적었다.
김 교수는 “북한 여성을 납치한 군인은 ‘미안하지만 우리는 일본인과 달리 정이 통한다’고 했다”고 회상했다. 그러나 여성들은 눈물만 쏟았다. 피란을 가지 못한 의대생이던 정모씨는 김 교수에게 “친구 3명과 부대 장교 4명에게 배정됐지만 한 군인(남편)의 부탁으로 빠져나왔다. (헤어진 친구는) 상상에 맡긴다. 못다 한 얘기는 가슴에 묻고 관에 들어가겠다”고 했다.
김 교수는 “일본군 위안부가 없었다면 한국군 위안부는 만들어지지 않았다”며 역사왜곡에 정면 반박했다. 한국군 위안부는 일본군 위안부의 연장선에 있다. 특별 위안대가 설치될 당시 장석윤 육군본부 후생감(휼병감)은 10여년을 일본군, 만주국군에서 복무했다. 그는 ‘친일인명사전’에도 기록됐다.
군은 외면한다. 육군 관계자는 “한국군 위안부 관련 진상조사는 한 적이 없다”면서도 “후방전사 인사편 외 구체적인 사료나 자료가 없어 추가 사실 확인이 어렵다. 관련 희생자 위령사업 등도 별도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1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원회)는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 사건들을 조사했지만 군 위안부 문제는 다뤄지지 않았다. 만연했던 성범죄도 진상규명이 필요하다. 일본군 위안부처럼 한국군 위안부가 주 2회 군의관에게 성병 등을 검진받게 했기에 관련 자료가 남았을 가능성도 있다. 김 교수는 연말쯤 꾸려질 2기 진실화해위원회에 기대를 건다. 그는 “내년에 적극 문제를 제기하겠다”고 덧붙였다.
글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사진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2020-06-26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