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과학, 왜 변방에 머물렀나

한국 전통과학, 왜 변방에 머물렀나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8-11-14 17:56
수정 2018-11-15 01: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첨성대·측우기·사상의학 등 독창성 보여
수준 낮지 않았지만 세계적 기여는 작아
옛 천문 기록, 태양계·은하 분석에 도움
한의학·신기술 합치면 예방의학 등 발전
이미지 확대
천상열차분야지도-1395년 조선 태조의 명에 따라 12명의 천문학자들이 만들어 대리석 돌판에 새긴 석각천문도.세계 두 번째로 오래된 것으로 한양의 위도에 맞게 설정돼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천상열차분야지도-1395년 조선 태조의 명에 따라 12명의 천문학자들이 만들어 대리석 돌판에 새긴 석각천문도.세계 두 번째로 오래된 것으로 한양의 위도에 맞게 설정돼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중국의 전통과학은 왜 발전하지 못했는가?” 영국의 생화학자 조지프 니덤(1900~1995)은 ‘중국의 과학과 문명’이라는 책을 써 과학사학자로 더 유명하다. 니덤은 13세기까지 서양이 넘볼 수 없을 정도의 과학기술을 가졌던 중국이 근대과학으로 발전시키지 못한 이유를 찾아 나섰다. 중국 전통과학의 역사를 실증적으로 밝혀냄으로써 중국 과학이 세계 과학사에 있어서 중요한 한 줄기로 자리잡게 됐다.

과학사학자들은 한국의 전통과학에도 똑같은 질문을 던짐으로써 국수주의적 관점이나 무조건적인 배척이라는 양극단을 벗어나 한국의 전통과학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고 충고하고 있다.

14일 오후 국립과천과학관에서는 이 같은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인 ‘전통과학포럼’이 열렸다. 이번 포럼은 과천과학관이 개관 10주년을 맞아 기존 전통과학관을 한국과학문명관으로 새롭게 단장하는 것을 기념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이미지 확대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조선 태종 때인 1402년에 만들어진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세계지도로 알려져 있다.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조선 태종 때인 1402년에 만들어진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세계지도로 알려져 있다.
한국 전통과학을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는 것은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인 첨성대, 세계 최초 우량계인 측우기, 표음문자 한글, 중의학과는 다른 철학을 보여주는 한의학인 사상의학이다. 임진왜란 때 사용된 일종의 행글라이더인 비거(飛車)나 포탄인 비격진천뢰도 한국 과학의 독창성을 설명할 때 자주 등장된다.
이미지 확대
첨성대-신라 선덕여왕 때 천문을 관측하기 위해 세워졌다. 서울신문 DB
첨성대-신라 선덕여왕 때 천문을 관측하기 위해 세워졌다.
서울신문 DB
이미지 확대
금영측우기-현존하는 유일한 조선 시대 측우기로 1837년 헌종 3년에 만들어졌다.  서울신문 DB
금영측우기-현존하는 유일한 조선 시대 측우기로 1837년 헌종 3년에 만들어졌다.
서울신문 DB
이런 뛰어난 과학기술 유산을 갖고 있음에도 한국 전통과학이 세계 과학사의 변방에 머물러 잘 알려지지 않은 이유는 세계 과학 발전에 기여도가 낮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측우기로 비의 양을 정확히 계측하기는 했지만 세계 다른 지역의 측정 과학 발전에 기여하지 못했고 첨성대나 한글, 사상의학에서 독창성과 우수성은 높지만 세계적 파급력이 미미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기조발제를 맡은 신동원 전북대 과학학과(과학사) 교수는 “니덤은 세계 각국의 과학을 바다로 향하는 강의 여러 지류로 표현했는데 한국 전통과학의 현재는 이 같은 차원에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라며 “더군다나 우리나라 과학유물이나 전통과학기술에 대해서는 최초, 최고라는 수식어들이 붙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것들은 한국 과학문명을 정확히 읽는 것을 방해한다”고 지적했다. 최초, 최고라는 수식어에 집중하는 이유는 한국 과학문명의 수준을 외국인들에게 쉽게 알리고 국민들의 자긍심을 고취하기에 유리하기 때문에 개화기 때부터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신 교수는 해석했다. 한국 전통과학문명을 제대로 읽기 위해서는 역사적 사실과 맥락, 더 나아가 과학기술 전반의 구조와 변천과정을 바탕으로 한 문명론적 시각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세계 과학발전에 기여도가 낮은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 전통 과학기술은 해당 시대의 정치, 군사, 경제, 복지, 문화부문을 뒷받침해 왔고 동시대 동아시아 주변국들과의 수준과 비교했을 때도 뒤처지지 않았다. 이런 차원에서 볼 때 한국 과학문명 수준을 무시하거나 ‘한국에는 과학문명이 없었다’고 말하기 어렵다.
이미지 확대
앙부일구-1434년 세종의 명에 따라 과학자인 장영실과 이천, 김조 등이 만든 해시계다.청동 바탕에 은으로 상감했다. 서울신문 DB
앙부일구-1434년 세종의 명에 따라 과학자인 장영실과 이천, 김조 등이 만든 해시계다.청동 바탕에 은으로 상감했다.
서울신문 DB
이미지 확대
신기전-조선시대에 사용된 로켓추진 화살. 1448년 세종 때 제작된 병기로 임진왜란 때에도 사용한 기록이 남아 있다.  서울신문 DB
신기전-조선시대에 사용된 로켓추진 화살. 1448년 세종 때 제작된 병기로 임진왜란 때에도 사용한 기록이 남아 있다.
서울신문 DB
특히 현대 과학적 관점에서 주목받는 분야는 천문학이다. 실제 청동기 시대 천문유적을 비롯해 기원전 1세기 삼국시대 초기부터 천문현상이 기록돼 왔으며 고려와 조선시대에 이르러 수많은 분량의 천문기록이 실록이나 관청의 일기로 남아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최근 고천문연구를 통해 역사문헌 속 천문 현상들이 실제로는 헬리혜성이나 케플러초신성, 태양 흑점과 오로라 활동을 관측한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과거의 천문기록은 천체현상의 통계적 분석은 물론 태양계나 우리 은하 특성을 연구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입을 모은다.
이미지 확대
동의보감- 어의였던 허준이 지어 조선 광해군 시절인 1613년 간행한 동의보감은 당시 동양의학 전통을 가장 잘 종합한 의학서라는 평가를 받았다. 한국학중양연구원 제공
동의보감- 어의였던 허준이 지어 조선 광해군 시절인 1613년 간행한 동의보감은 당시 동양의학 전통을 가장 잘 종합한 의학서라는 평가를 받았다.
한국학중양연구원 제공
동의보감과 사상의학으로 대표되는 한의학 역시 현대의학 기술과 빅데이터, 인공지능과 통합함으로써 예방의학이나 환자 맞춤형 의학으로 발전할 수 있는 여지도 크다.이처럼 잘 보존된 과학문화는 단순히 문화유산으로 가치뿐만 아니라 현대 과학의 발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신 교수는 “과학기술의 발전은 외부 세계의 자극에 대해 어떻게 역동적으로 대응해 나가는가를 보여주는 문명의 패턴”이라며 “한국 전통과학이 당대 동아시아 각국과 경쟁하며 발전해 온 모습은 ‘오래된 미래’라는 차원에서 한국 과학이 나갈 길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8-11-15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