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의 가치가 필요한 시대, 한국은 제대로 된 ‘돌봄’이 있나

돌봄의 가치가 필요한 시대, 한국은 제대로 된 ‘돌봄’이 있나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3-12-05 11:15
수정 2023-12-05 11: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계간지 ‘창작과비평’ 겨울호, 돌봄의 가치 재분석

이미지 확대
계간지 ‘창작과비평’ 겨울호에서는 시인, 문학평론가, 영화평론가가 우리 사회에서 돌봄에 대한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펙셀즈 제공
계간지 ‘창작과비평’ 겨울호에서는 시인, 문학평론가, 영화평론가가 우리 사회에서 돌봄에 대한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했다.

펙셀즈 제공
‘돌보다의 명사형. 건강 여부를 막론하고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거나 증진하고, 건강의 회복을 돕는 행위.’

국어사전에서 설명하는 ‘돌봄’의 의미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을 거치면서 한국 사회는 물론 세계 각국에서는 돌봄에 관한 관심과 돌봄 담론도 팽창했다.

팬데믹 못지않게 사회적 위기감이 팽배한 현재 계간지 ‘창작과비평’ 겨울호(202호)에서는 ‘삶을 돌보는 사회를 위하여’라는 주제로 문학평론가, 시인, 영화평론가의 원고를 싣고 현재 한국 사회에서 돌봄이라는 가치에 대해 분석했다.

백지연 문화평론가는 ‘돌봄의 시민성과 문학의 공동영역’이란 글을 통해 돌봄의 결핍이 민주주의 결핍과 연동돼 있다고 지적한다. 구성원들의 삶을 돌보는 일에 소홀하고, 재난과 안전에 대한 방비도 제대로 못 하는 나라에서는 민주주의적 가치가 생존할 수 없다는 말이다. 백 평론가는 김애란의 소설 ‘좋은 이웃’과 금희의 소설 ‘무한오리부위집’, 백온유의 소설 ‘페퍼민트’를 꼼꼼히 분석해 돌봄이 어떤 갈등을 마주하게 되고 획득하는지 설명하고 있다. 그는 “소설이 꿈꾸는 진정한 좋은 이웃은 ‘잘 살기’라는 획일화된 가치를 경쟁적으로 탐닉하는 세계가 아니라 함께 돌봄이 만드는 세계에서 가능하다”라고 강조했다. 또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도모하는 국가의 제도적 지원, 사회와 시민의 네트워크, 삶의 가치를 돌보고 회복하는 이야기까지 모든 돌봄의 연결망이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박소란 시인은 ‘돌보는 사이’라는 글에서 최지은, 조온윤, 최재원의 첫 번째 시집을 통해 시인들의 내밀한 경험과 생활에 대한 고찰이 돌봄을 어떻게 사유하고 있는지 살펴봤다. 박 시인은 “돌봄을 사적 영역으로 제한하지 않고 공적 영역으로, 다양한 양상과 다양한 관계로 넓혀가는 것은 자연적 흐름”이라고 말한다. 돌봄에 상상력이 필요한 이유는 돌봄이 지속될 수 있는 대안적 관계성을 발견하고 다양한 형태의 연결망을 사유해 현실화하는 데 실마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가 하면 조혜영 영화평론가는 ‘존재의 염려와 산만한 돌봄의 제스처’에서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의 ‘염려’ 개념을 끌어와 돌봄을 재해석하고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그는 또 최근 몇 년간 죽음과 돌봄을 함께 서사화한 한국 독립영화 ‘밤의 문이 열린다’, ‘혼자 사는 사람들’, ‘낮에는 덥고 밤에는 춥고’를 통해 돌봄을 어떻게 봐야 하는지 본다.

오랜 시간 돌봄노동을 여성의 일로 부과했던 가부장제에서는 돌봄을 저평가하고 여성의 덕성과 연계했다. 이 때문에 끊임없이 주변을 관찰하고 타자를 향한 염려를 표현하는 돌봄은 산만함과 집중력 부족, 잔소리, 오지랖 같은 부정적 언어로 낙인찍어왔다고 조 평론가는 지적했다.

이들이 공통으로 말하는 것은 돌봄은 자기 존재 조건을 성찰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는 점이다. 자기 존재의 성찰은 내적 사유로 집중을 넘어 세계 내의 다른 존재, 도구, 더 나가 환경을 산만하게 둘러보고 배려하는 것으로 연계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미지 확대
계간지 창작과비평 2023 겨울호
계간지 창작과비평 2023 겨울호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