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망의 시대에 철학은 해독제가 될까. 르네상스 시대 화가 라파엘로가 그린 ‘아테네 학당’
위키피디아 제공
위키피디아 제공
이 같은 상황에서 계간지 ‘철학과 현실’ 최근호는 ‘이 시대에 철학 한다는 것은 무엇일까’라는 주제로 특별 좌담과 3편의 원고를 싣고 한국 사회에서 철학의 존재 가치에 대해 분석했다.
박찬국 서울대 철학과 교수는 ‘이 시대에 철학 한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글에서 “오늘날 사람들은 행복을 감각적 쾌락에서 찾는 감각적 쾌락주의와 이런 감각적 쾌락을 마련해 주는 물질적인 부의 획득을 중요하게 보는 물질만능주의를 자명한 것처럼 받아들이고 있다”고 통렬하게 꼬집었다. 박 교수는 “현대 과학은 사람의 삶에 의미와 목적을 제공할 수 없고 쾌락주의와 물질만능주의가 삶에 만족을 가져다주지 못하기 때문에 삶에 염증과 권태, 공허감을 느끼는 이들이 많다”면서 “그렇다고 현대인이 전통적 종교에서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기에는 너무 성숙한 상태이기 때문에 철학이 대중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 ‘만족할 수 있는 좋은 삶이란 무엇인가’를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계간지 ‘철학과 현실’
편집인인 이진우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명예교수도 권두언을 통해 “지금 철학의 쓸모는 바로 철학의 쓸모없음에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철학이 좋은 일자리나 물질적 풍요를 만들어 낼 수 없고 문제 해결에도 쓸모없지만 문제의 정체와 의미를 일깨워 해결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는 분명 쓸모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