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은 공허한 헛소리? 삶의 나침반 만나는 길!

철학은 공허한 헛소리? 삶의 나침반 만나는 길!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4-08-23 03:22
수정 2024-08-23 03: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철학의 쓸모
로랑스 드빌레르 지음/박효은 옮김
피카/332쪽/1만 8800원

이미지 확대


‘문송합니다’라는 말이 있다. ‘문과여서 죄송하다’는 말로, 문과 출신으로 갈 수 있는 일자리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에 대한 자조적 의미를 갖고 있다. 학문의 전당이라는 대학마저 취업 학원처럼 변하고, 인문학을 경시하는 풍조가 확산되고 있으니 씁쓸할 따름이다.

사실 철학이나 철학자라고 하면 세상일에는 무관심한 채, 두꺼운 안경을 끼고 심각한 듯한 표정으로 일상에는 아무 도움 안 되는 두껍고 어려운 책들을 잔뜩 쌓아 놓고 읽는 사람을 떠올리는 사람이 많다. 인간을 탐구하는 ‘문·사·철’(문학·역사학·철학)은 과연 우리의 삶에 아무 쓸모가 없는 것일까.

이 책을 쓴 17세기 데카르트 철학의 전문가 로랑스 드빌레르 프랑스 파리 가톨릭대 철학부 학장은 “철학은 그런 것이 아니다”라고 단언하면서 “일상에서 수많은 문제와 시련을 마주하고 있는 인간에게 철학은 나침반이 돼 줄 것”이라고 말한다.

드빌레르 교수는 국내 출간 후 40주 연속 베스트셀러에 이름을 올린 ‘모든 삶은 흐른다’의 저자이기도 하다. 전작에서는 바다를 통해 삶의 철학적 해법을 제시했다면 이번에는 좀더 직접적이다.

저자는 기원전 1세기에 활동했던 로마의 철학자 루크레티우스와 스토아 철학자들부터 자크 데리다, 폴 리쾨르 등까지 인류사에 등장했던 수많은 철학자를 소환해 일상의 삶에서 맞닥뜨릴 문제들의 해법을 알려 준다.

일을 쉽게 시작하지만 끝까지 해본 적이 없는 사람이 많다. 그런 사람들에게 저자는 플라톤의 목소리를 들려주는 식이다. “모든 승리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찬란한 승리는 자기 자신을 이겨 내는 것이며, 모든 패배 중 가장 수치스럽고 비참한 패배는 자기 자신에게 지는 것이다. 이는 인간에게 모두 자기 자신이라는 적이 있음을 의미한다.”

책을 읽고 나면 철학은 공허한 이야기나 헛소리가 아니라 “삶의 문제를 치열하게 고민하는 것”임을 깨닫게 될 것이다. 이 책의 유일한 부작용이라고 한다면 자기도 모르게 서점 한쪽에 있는 인문학 코너에서 두꺼운 철학책을 꺼내 들고 있을지 모른다는 것이다.
2024-08-23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4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3 / 5
3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