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홍삼·명란젓… 일제가 뒤흔든 조선의 먹거리

쌀·홍삼·명란젓… 일제가 뒤흔든 조선의 먹거리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4-07-26 00:07
수정 2024-07-26 00: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음식조선/임채성 지음/임경택 옮김/돌베개/480쪽/3만 2000원

이미지 확대
일제강점기 조선 총독부는 조선 소의 위생을 지적하며 축우 개량에 나섰다. 이에 따라 조선 소의 출산율이 일본 소를 웃돌았다. 그러나 소의 두수는 조선보다 일본에서 더 늘었다. 일제가 조선의 암소를 대량으로 가져갔기 때문이다. 이는 조선 소의 열등화를 불렀고 조선 소의 체격도 나빠졌다. ‘축우 개량’이 아닌 ‘축우 개악’ 정책이었던 셈이다. 한국인으로 일본 릿쿄대 경제학과 교수로 일하는 저자가 쌀, 소, 홍삼, 우유, 사과, 명란젓, 소주, 맥주, 담배 등 일제 식민지 시대 조선의 음식들을 살폈다. 식재료 생산부터 유통과 가공을 거쳐 소비 행위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의미하는 ‘푸드 시스템’이라는 개념으로 음식의 흐름, 경제성 그리고 현재에 미치는 영향 등을 살폈다.

조선 소의 대량 이출을 비롯해 조선 쌀의 일본 수출은 당시 식민지 조선인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쳤다. 함경도 지방에서만 주로 먹던 명란젓은 일본인의 입맛에 맞아 부상한 음식이다. 명태 어란을 식염과 고춧가루로 가공한 이 음식은 조선에 거주하던 일본인에게 알려지며 큰 인기를 끌었고 일본인 제조업자들의 참여를 불렀다. 이에 따라 판매용 명란젓이 대량으로 가공됐다.

당시 음식들이 지금의 음식 산업에 미친 영향을 살피는 일도 흥미롭다. 조선 인삼을 홍삼으로 가공하고 전매하면서 당시 총독부 재정이 늘었지만 이때의 경험이 지금의 인삼업에 큰 도움을 줬다. 해방 후 경성우유동업조합이 설립되기까지의 과정 역시 마찬가지다. 제국의 상품으로 부상했지만 조선 내외에서 경쟁력을 지니게 됐다. 치밀한 실증 연구를 바탕으로 근대화론과 수탈론, 시장과 정책 분석, 경제와 문화 고찰을 균형 있게 담았다. 저자는 “이번 연구가 식민 근대성과 식민성의 착종 상황에 새로운 시야를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거나 현재의 문맥에 맞춰 재해석하는 일은 다른 연구자들의 몫일 터다.

2024-07-26 23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의대 증원 논쟁 당신의 생각은? 
의료공백이 장기화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의정 갈등 중재안으로 정부에 2026년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자고 제안했습니다. 그러나 대통령실은 “의사 증원을 하지 말자는 얘기와 같다. 현실성이 없는 주장”이라며 거부 의사를 명확히 했습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의료시스템 붕괴를 막기 위해 당장 2025년 의대 증원부터 유예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예정대로 매년 증원해야 한다
2025년부터 증원을 유예해야 한다
2026년부터 증원을 유예해야 한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