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허 이태준’ 문학 전집 출간
1차분 4권에 2028년까지 총 14권
조카인 김명렬 교수가 원고 모아
처음 공개되는 글도 여럿 실릴 것
상허 이태준은 1930년대 전성기를 누렸던 소설가이자 신문기자로 1925년 ‘시대일보’에 단편소설 ‘오몽녀’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단편소설을 주력으로 삼았지만 중·장편, 희곡, 아동문학, 평론 등 다방면으로 활동했다. 해방 후 월북하면서 행적이 묘연해졌고 1950년대쯤 숙청당한 것으로 전해진다.
열화당 제공
열화당 제공
●1930년대 최고의 미문 ‘명성’
1930년대 탁월한 소설가이자 신문기자로 활약하며 당대 최고의 미문으로 명성을 떨쳤던 이태준의 전집이 출판사 열화당에서 출간되기 시작했다. 출판사가 계획하기로는 총 14권인데, 우선 1차분으로 4권을 찍어 냈다. 2028년 완간이 예상되는 대형 프로젝트다.
“그는 길은 보지도 않고 달만 쳐다보며, 노래는 그 이상은 외지도 못하는 듯 첫 줄 한 줄만 되풀이하면서 전에는 본 적이 없었는데 담배를 퍽퍽 빨면서 지나갔다. / 달밤은 그에게도 유감한 듯하였다.”(1권 ‘달밤’, 124쪽)
이태준을 국어 교과서 속 낡아 가는 근대소설가 정도로만 알고 있는 사람이 부지기수다. 입시를 위해 그의 작품과 주제만을 달달 외웠을 뿐 문장을 하나하나 뜯어 읽고 음미할 여력까지는 없었을 것이다. 열화당이 이태준 전집을 기획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출판사는 “그의 탁월한 문학적 성취와 미문을 후세에 알리고 연구의 기반을 올바로 마련하기 위해 작품들을 일관된 기준으로 정리하는 작업이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강원도 철원 출생인 이태준은 국문학계에서 ‘근대적 단편소설의 완성자’로 불린다. 1925년 단편 ‘오몽녀’를 ‘시대일보’에 발표하며 등단한 뒤 소설뿐만 아니라 희곡·평론·아동문학 등 다양한 글을 남겼다. 이효석, 정지용 등과 함께 1933년 문학동인 ‘구인회’를 결성했고 ‘개벽사’ 등에서 기자로도 일했다. 해방 이후 월북하면서 남한에서는 1988년까지 작품 출판과 판매가 금지됐다. 이태준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배경이다. 전집은 그가 북으로 가기 전까지 썼던 작품을 망라했다. 단편소설 1편과 중·장편에서 빠진 연재분 등 이번 전집을 통해 처음 소개되는 글도 여럿이다.
이태준의 조카인 김명렬 서울대 영문과 명예교수는 이번 전집 발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남한에 이태준의 직계가족이 전혀 없는 가운데서도 김 교수는 자신 역시 문학을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그의 자손을 대신해 뭔가를 해야 한다는 책임감으로 이 일에 뛰어들었다. 김 교수는 정년퇴임 후 2015년 초부터 원고를 모으기 시작해 2017년쯤 1차 정리를 마친 뒤 열화당에 연락했다. 이후 구성과 디자인, 원문 대조 및 주석까지 수년간의 작업을 거쳐 전집이 세상에 나오기에 이르렀다.
열화당은 “연구자를 위한 일차 문헌의 확립이라는 목적 외에도 독자 개개인의 경험들이 저변에서부터 축적됐으면 하는 바람에서 기획을 시작했다”며 “그래야만 작품이 비로소 진정한 고전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문장 하나하나 뜯어읽어 보니
대표작 ‘달밤’과 함께 교과서를 통해 많이 알려진 단편 ‘복덕방’은 1권에 담겼다. 지금 다시 읽으니 코미디 프로그램을 보는 듯한 대목에 대뜸 웃음이 튀어나온다. ‘안 초시’의 딸 ‘경화’의 무용회에서 ‘서 참위’가 안 초시에게 시비를 거는 장면이다.
“허! 저기 한가운데서 지금 한창 다릿짓하는 게 자네 딸인가?” “무용이란 건 문명국일수록 벗구 한다네 그려.” “모르겠네 원… 지금 총각놈들은 모두 등신인가 바….” … “우린 총각 시절에 저런 걸 보문 그냥 못 배기네.” “빌어먹을 녀석… 나잇값을 못 하구, 개야 저건 개….”(1권, 317~318쪽)
2024-01-25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