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추천 도서 100선-읽어라, 청춘] (20) ‘논어’

[서울대 추천 도서 100선-읽어라, 청춘] (20) ‘논어’

입력 2014-07-01 00:00
수정 2014-07-15 09: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禮를 통해 仁을 실천 시대 뛰어넘은 삶의 지혜 공자의 가르침을 만나다

‘지지자불여호지자, 호지자불여락지자.’(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알기만 하는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기만 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만 못하다)

이미지 확대
‘논어’(語)의 옹야(雍也)편에 나오는 구절이다. 몇 해 전 유명 서예가에게서 글씨를 받을 기회가 생겼다. 평소 논어를 좋아한다는 말을 전해 듣고 논어를 뒤져, 두고두고 보고 싶은 구절을 찾았다. 아이 방에 걸어 둘 것과 내가 삶의 지침으로 삼고자 하는 두 구절을 찾느라 여기저기 살펴보았다. 읽어가기에 그리 많은 양은 아니었으나 사람답게 살기 위한 길에 대한 진지하고도 치열한 담론이 진도를 더디게 만들었다.

논어에서 굳이 이 구절을 선택한 것은 공부하는 아이가 이왕이면 그저 열심히만 하지 말고 즐겁게 했으면 하는 바람에서였다. 그런데 아이는 열심히도 힘든데 즐기기까지 하라는 거냐며 내 욕심을 알아채고 말았다. 그러면 나는 학이(學而)편의 ‘불환인지불기지, 환부지인야’(不患人知不己知, 患不知人也·남이 나를 알지 못함을 탓하지 말고, 내가 남을 알지 못함을 탓하라)’를 되뇌며 서운함을 다독인다. 물론 이렇게 얕은 의미는 아니지만 일단 내 편리대로 마음을 다스리는 데 써 본다. 아이가 대학에 들어가면서 자기 방에 있는 가구들의 위치를 바꾼다고 수선을 피울 때 공자 말씀이 들어 있는 액자를 치워 주려 하였다. 의외로 아이는 책상 앞에 걸어 두겠다고 했다. 어떤 마음에서 그리 말하였는지 짐작할 길 없지만 그 구절이 아이의 앞날을 지켜 주리라 생각하니 왠지 흐뭇했다.

이제 고등학교 교육 과정에 고전 과목이 생긴다. 지식을 쌓는 데 치중했던 교육 현실에 대한 반성이 담긴 개편일 것이라 생각해 본다. 이에 맞춰 출판계는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청소년 대상으로 고전 읽기를 권장하며 펴낸 책들을 보면 제목에 ‘생각의 근육’, ‘고전의 힘’ 등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고전이 지닌 가치를 함축하고 효용까지 생각한 흔적일 것이다. ‘고전’(古典)이란 말 속에는 ‘오래되었다’는 뜻이 들어 있다. 오래된 것에는 그저 옛것이라는 의미 외에 많은 사람에게 널리 모범이 될 만하다는 내포가 있다. 고전이 우리에게 유익하지 않았다면 영리한 사람들 사이에서 살아남았을 리가 없다. 많은 학자들이 주석을 달고 편찬을 거듭하며 생명을 누리는 고전 중에 우리의 삶 전반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책이 논어다. 한때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는 책이 화제가 된 것은 공자가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으로든 부정으로든 크다는 반증일 것이다.

이미지 확대
최영주 한우리독서토론논술 책임연구원
최영주 한우리독서토론논술 책임연구원
논어는 ‘맹자(孟子), 대학(大學), 중용(中庸)과 더불어 사서(四書)라 불리며 중국뿐 아니라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 지식인들에게 최고의 고전이라 불리는 책이다. 논어의 저자를 ‘공자’로 알기 쉬운데 사실은 공구라는 2500여년 전에 살았던 중국인의 말과 행동을 그의 제자들이 쓴 것으로 딱 잘라 누가 저자인지 말하기는 애매하다.

확실한 것은 공자 자신의 손으로 기록, 정리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뿐이다. 대체 공자가 어떤 사람이었길래 말과 행동이 기록돼 많은 사상을 낳고 2500여년의 유구한 세월을 견뎌내며 거듭 태어나고 있는 것일까.

공자는 본명이 ‘공구’(孔丘)로 공자(孔子)의 자(子)는 일종의 존칭인데 이름을 귀히 여겨 함부로 부르지 않으려는 관습에서 나온 전통이다. 공자는 공 선생님 정도라 생각하면 된다. 지금은 전 세계에 공 선생님이라 불리며 존경을 받지만 당시의 그의 삶은 매우 불우하였다. 세 살 때 아버지를 잃고 빈곤에 시달리며 여러 직업을 전전했다. 열악한 생활환경에 굴하지 않고 공부하고 수양에 힘써 50세가 지나서는 정치가로 등용되기도 했다. 문화국가 건설을 목표로 개혁을 시도하였지만 실패하여 여러 나라를 떠돌게 된다. 공자가 살았던 춘추전국시대는 약육강식의 패도정치가 난무하던 때라 예(禮)와 인(仁)을 이야기하며 어떻게 하면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는지를 말하는 것은 씨알이 먹히지 않았다. 결국 공자는 자신의 정치적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군주를 만나지 못한 채 고향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다. 낙향 후에도 자기 수양과 제자들의 교육에 힘쓰다 74세로 생을 마쳤다.

논어는 참 평범한 책이다. 나이 먹고 철든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할 법한 이야기들이 일정한 체계도 없이 나열됐다. 그래도 무엇에 대해 말하고 있는지 내용을 살펴보자면 개인의 인격 수양에 관한 것, 사회 윤리, 정치와 철학, 사람에 따라 다르게 가르치고자 했던 문답, 문인들에 대한 비판, 공자 자신의 술회, 제자들이 공자에 대해 표한 존경 등을 담고 있다. 이 중에서 개인의 인격 수양과 사회 윤리가 절반을 넘게 차지한다. 이런 분포만 봐도 인간 내부에 존재하는 이성을 믿고 그것을 절차탁마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널리 퍼뜨려 정의로운 세상을 만들자는 것이 논어의 핵심임을 알 수 있다.

논어는 배움에서 시작해 지명(知命)으로 마무리된다. 개인의 완성을 배움에서 시작된다고 보아 학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지명이란 하늘의 뜻을 아는 것이다. 세상 만물이 살아가는 이치인 하늘의 뜻을 통해 사람이 마땅히 해야 할 도리를 알고 이를 실천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가르침을 담고 있다. 논어에서 사람의 도리를 어떻게 말하고 있는지 읽다 보면 자주 나오는 글자를 만나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인(仁)이다. 인을 우리말로 옮기면 ‘어질다’인데 요즘 말로 ‘착하다’쯤 될 듯싶다. 공자가 말하는 사람의 도리가 무엇인지는 제자 안연에게 말한 ‘극기복례’(克己禮·자기의 사사로운 욕심을 극복하고 예법으로 돌아오라)에 집약되어 있다. 사사로운 욕심이란 먹고 입는 것에서 돈을 많이 벌거나 출세하고자 하는 것까지 개인적으로 가질 수 있는 욕심을 말한다. 예(禮)는 사회 구성원 전체에게 유익한 것이다. 그러므로 개인의 지나친 욕심을 경계하고 사회 전체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는 것이 사람의 도리라 말할 수 있다. 정말이지 공자님 말씀이다.

지금 우리가 볼 수 있는 논어는 학이(學而)편에서 요왈(堯曰)편까지 20편, 534장으로 구성됐다. 한 장이라고 해도 한 줄 또는 두 줄 정도의 문장이 대부분이다. 편의 제목에도 어떤 뜻이 있다기보다는 첫 문장의 글자를 따온 것일 뿐이다. 전체에 사용된 한자 수는 1만 5918자로 중복된 글자를 빼면 1500여자 정도다. 낱낱의 글자 수를 들먹인 까닭은 그리 많지 않은 분량이니 들여다보지도 않고 겁부터 먹지 말자는 의미다. 논어를 읽어야겠다는 마음이 들거든 논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담아 해설한 책보다는 원문을 그대로 풀어낸 책부터 시작하면 좋다. 옛사람들처럼 소리 내어 읽어보자. 공자의 제자 된 기분으로 그 뜻을 헤아리고 자신의 생활 속에 묻어 있던 공자를 발견해 보자. 일정한 체계가 없어 어렵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체계가 없는 만큼 자유롭게 느끼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공자의 사유를 모두 읽어 낸다는 욕심은 버리고 그저 책을 가까이 두고 보면 좋겠다. 화장실 선반이나 거실 탁자 옆에 두고 눈에 띌 때마다 한 번씩 펼쳐보자. 복잡하고 어려워 보이는 한자에 기죽지 말고 짧은 문장에서 볼 때마다 새로 태어나는 의미를 발견하고 내 생활에 반영해 보는 재미를 누려 보라 권하고 싶다. 혹 내키거든 내 감상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려 보자.

최영주 한우리독서토론논술 책임연구원
2014-07-0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