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1년 남극 대륙 위에는 두 남자가 있었다. 노르웨이와 영국으로 국적은 달랐지만 목표는 똑같은 남극점 최초정복이었다. 그러나 준비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었다.
노르웨이인은 추위 속에서 살아가는 에스키모들에게서 배운 방법을 썼다. 운송수단으로 개썰매를 선택했다. 탐험대원들도 당연히 개썰매나 스키를 잘 아는 노련한 전문가들로 구성했다. 최단 코스를 선택한 뒤 중간중간 설치한 기지에는 충분한 양의 보급품을 쌓아뒀다. 그래야 기지에서 기지로 이동할 때 지고 가야 할 짐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덕분에 영국인보다 남극에 늦게 왔지만 한달여 빠른 12월 14일 남극점에 도착, 영웅이 됐다.
●준비 철저했던 아문센 먼저 남극에
반면 영국인에게 사전답사란 없었다. 대원 중에는 기상·지질·물리학자들이 있었다. 또 개썰매 대신 말과 모터엔진 썰매를 택했다. 썰매개보다 월등한 힘을 믿었기에 보급기지는 부실했다.
그러나 강추위에 말은 얼어죽고 모터엔진은 고장났다. 겨우 다다른 남극점에는 이미 노르웨이 국기가 펄럭이고 있었다.
귀환길에 대원들은 자신의 장비 뿐 아니라 각종 수집품까지 들쳐메고 눈밭을 달려야 했다. 이 팀은 8개월 뒤에 얼어죽은 채 발견됐다.
노르웨이인은 남극점을 정복한 아문센, 영국인은 로버트 팰컨 스콧이다. 아문센처럼 철저한 준비 끝에 오직 남극점을 향해 달리는 것이 맞을까, 아니면 비록 대원들의 몰사로 끝나고 말았지만 이런 저런 기상·지질조사까지 병행했던 스콧의 귀족적 고상함이 맞을까. 평가는 엇갈릴 수밖에 없다.
●스콧 일행 역경 맞닥트리며 탐험
‘남극일기’(박미경 엮음, 세상을 여는 창 펴냄)는 스콧의 귀족적 취향에 찬성표를 던지고 있는 책이다.1911년 1월 4일부터 다음해 3월 29일까지 기록된 스콧의 일기와 스콧이 죽기 전에 남긴 유언편지들이 책의 뼈대다.
일기라 그런지 아문센과의 경쟁과 같은 그런 배경 지식을 따져가며 읽기보다는 역경에 맞닥트린 인간의 고뇌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자칫 앞뒤 맥락을 잘 모를 수 있다는 일기의 단점은 편역자의 설명과 다른 대원의 기록이 보충자료 형식으로 간간이 섞여 있어 그다지 느낄 수 없다. 책 말미에 붙어 있는 탐험실패 이유를 먼저 읽어보는 것도 이해에 도움된다.
그러나 19세기말 20세기 초 제국주의 열강들의 유행이었던 박물관이나 동물원이 일종의 사치스러운 약탈품의 전시장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면, 영국과 노르웨이의 민족주의 기싸움 비슷한 이 얘기를 우리가 왜 가까이 해야 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마침 개봉을 앞둔 송강호·유지태 주연의 영화 ‘남극일기’의 스토리가 80년전 남극에서 사망한 영국 탐험대와 관련 있다 하니 이 책의 포커스가 무엇인지는 짐작된다.1만2000원.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노르웨이인은 추위 속에서 살아가는 에스키모들에게서 배운 방법을 썼다. 운송수단으로 개썰매를 선택했다. 탐험대원들도 당연히 개썰매나 스키를 잘 아는 노련한 전문가들로 구성했다. 최단 코스를 선택한 뒤 중간중간 설치한 기지에는 충분한 양의 보급품을 쌓아뒀다. 그래야 기지에서 기지로 이동할 때 지고 가야 할 짐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덕분에 영국인보다 남극에 늦게 왔지만 한달여 빠른 12월 14일 남극점에 도착, 영웅이 됐다.
●준비 철저했던 아문센 먼저 남극에
반면 영국인에게 사전답사란 없었다. 대원 중에는 기상·지질·물리학자들이 있었다. 또 개썰매 대신 말과 모터엔진 썰매를 택했다. 썰매개보다 월등한 힘을 믿었기에 보급기지는 부실했다.
그러나 강추위에 말은 얼어죽고 모터엔진은 고장났다. 겨우 다다른 남극점에는 이미 노르웨이 국기가 펄럭이고 있었다.
귀환길에 대원들은 자신의 장비 뿐 아니라 각종 수집품까지 들쳐메고 눈밭을 달려야 했다. 이 팀은 8개월 뒤에 얼어죽은 채 발견됐다.
노르웨이인은 남극점을 정복한 아문센, 영국인은 로버트 팰컨 스콧이다. 아문센처럼 철저한 준비 끝에 오직 남극점을 향해 달리는 것이 맞을까, 아니면 비록 대원들의 몰사로 끝나고 말았지만 이런 저런 기상·지질조사까지 병행했던 스콧의 귀족적 고상함이 맞을까. 평가는 엇갈릴 수밖에 없다.
●스콧 일행 역경 맞닥트리며 탐험
‘남극일기’(박미경 엮음, 세상을 여는 창 펴냄)는 스콧의 귀족적 취향에 찬성표를 던지고 있는 책이다.1911년 1월 4일부터 다음해 3월 29일까지 기록된 스콧의 일기와 스콧이 죽기 전에 남긴 유언편지들이 책의 뼈대다.
일기라 그런지 아문센과의 경쟁과 같은 그런 배경 지식을 따져가며 읽기보다는 역경에 맞닥트린 인간의 고뇌에 초점을 맞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자칫 앞뒤 맥락을 잘 모를 수 있다는 일기의 단점은 편역자의 설명과 다른 대원의 기록이 보충자료 형식으로 간간이 섞여 있어 그다지 느낄 수 없다. 책 말미에 붙어 있는 탐험실패 이유를 먼저 읽어보는 것도 이해에 도움된다.
그러나 19세기말 20세기 초 제국주의 열강들의 유행이었던 박물관이나 동물원이 일종의 사치스러운 약탈품의 전시장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면, 영국과 노르웨이의 민족주의 기싸움 비슷한 이 얘기를 우리가 왜 가까이 해야 하는지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마침 개봉을 앞둔 송강호·유지태 주연의 영화 ‘남극일기’의 스토리가 80년전 남극에서 사망한 영국 탐험대와 관련 있다 하니 이 책의 포커스가 무엇인지는 짐작된다.1만2000원.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05-02-05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