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욕망, 작품이 되다

여성의 욕망, 작품이 되다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3-05-08 17:47
수정 2023-05-08 18: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안나 역할을 맡은 옥주현(왼쪽부터), 박진주, 민경아. 아떼오드 제공
안나 역할을 맡은 옥주현(왼쪽부터), 박진주, 민경아. 아떼오드 제공
“난 슬퍼질 때마다 야한 상상을 해.”

지금은 당연하게 되는 것들이 과거에는 당연하게 안 되던 시절이 있었다. 정말 많은 여성작가가 활동하는 오늘날 보면 여자는 아무리 글을 잘 써도 작가가 될 수 없었던 시절은 황당하게 다가온다. 세상을 바꿀 충분한 능력을 갖췄음에도 어린 나이에 결혼해 출산하는 게 의무로 여겨지던 시대는 안나 같은 여성에게 얼마나 답답했을까.

뮤지컬 ‘레드북’은 여자는 책을 쓰면 안 되고, 솔직하면 안 됐던 19세기 영국 런던에서 숙녀보다는 나로 살고 싶은 안나의 성장기를 그렸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창작산실 대본공모 우수작으로 선정됐던 작품으로 2018년 초연, 2021년 재연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 시즌이다.

‘레드북’의 배경인 빅토리아 시대는 1837년 6월 20일부터 1901년 1월 22일까지 빅토리아 여왕의 치세를 일컫는다. ‘해가 지지 않는 나라’ 영국이 가장 화려한 전성기를 누린 시기였지만 여성에게는 보수적인 시대였다.

이런 세상에 자신의 욕망을 솔직하게 이야기하고 작가로서의 꿈을 펼쳐가는 안나는 기성 사회에 거부감을 불러일으킨다. 자신을 둘러싼 온갖 흉흉한 소문에도 안나는 굴하지 않고 로렐라이 언덕 회원들과 함께 작가로서 활동을 이어간다. 상처를 받아도 씩씩하게 헤쳐 나가는 안나는 주변 사람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고, 신사 중의 신사 브라운 역시 안나를 보며 조금씩 가치관을 바꾼다.
이미지 확대
뮤지컬 ‘레드북’에서 시민들이 안나의 작품에 항의하는 모습. 아떼오드 제공
뮤지컬 ‘레드북’에서 시민들이 안나의 작품에 항의하는 모습. 아떼오드 제공
솔직하게 자신을 드러냈다가 감옥에 갇힌 안나는 재판을 앞두고 미친 척하라는 제안을 거부하고 당당하게 자기 생각을 밝히고 결국 작가로서 큰 성공을 거둔다. 작품 속 여성들이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는 과정이 매력이 가득한 노래와 함께 유쾌하게 펼쳐져 보는 재미, 듣는 재미를 준다.

빅토리아 시대에는 ‘폭풍의 언덕’을 쓴 에밀리 브론테와 ‘제인 에어’를 쓴 샬럿 브론테 자매를 비롯해 마거릿 올리펀트, 엘리자베스 배럿 브라우닝 등의 여성 작가들이 있었다. 안나처럼 ‘여자는 안 된다’는 편견에 맞선 이들이다. ‘레드북’은 이들처럼 자신의 이야기를 세상에 들려주라는 용기를 관객들에게 준다.

‘레드북’은 2018 제7회 예그린뮤지컬어워드에서 극본상 등 4관왕, 2019 제3회 한국뮤지컬어워즈에서 작품상 등 4관왕, 2022 제6회 한국뮤지컬어워즈에서 작품상 등 4관왕에 오른 작품이다. 창작 뮤지컬로서 작품성과 대중성을 모두 갖춘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사랑스럽고 유쾌한 안나 역에는 옥주현, 박진주, 민경아가 맡았다. 옥주현은 “‘레드북’은 나 자신을 온전히 사랑해야 그 누구에게도 당당해질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는 작품이다. 안나를 연기하며 나 자신도 치유받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 종로구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대극장에서 오는 28일까지 볼 수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