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 소녀를 통해 본 당신의 불안·당황·부러움·따분 [영화 리뷰]

사춘기 소녀를 통해 본 당신의 불안·당황·부러움·따분 [영화 리뷰]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4-06-13 04:40
업데이트 2024-06-13 04: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사이드 아웃 2

이미지 확대
‘인사이드 아웃 2’ 스틸컷.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제공
‘인사이드 아웃 2’ 스틸컷.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 제공
감정이 질풍노도와 같은 사춘기. 이때의 아이들은 미래에 대해 불안해하고, 돌발 행동으로 잘못을 저지른 뒤 당황스러워하기도 한다. 모두의 관심을 받는 멋진 친구를 보면 마냥 부럽다가도, 때론 모든 게 따분해진다.

12일 개봉한 ‘인사이드 아웃 2’는 국내에서 497만명의 관객을 동원한 디즈니 픽사 흥행작 ‘인사이드 아웃’ 후속편이다. 2015년 개봉한 전편은 이사 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려는 소녀 라일리의 감정 변화를 ‘기쁨’, ‘슬픔’, ‘버럭’, ‘까칠’, ‘소심’이라는 캐릭터를 내세워 섬세하게 그렸다.

이번 편은 열세 살이 된 라일리가 사춘기를 맞아 벌어지는 일들을 다룬다. 단짝 친구들과 함께 지역 고교의 하키 캠프에 초대받은 라일리는 동경하던 선배를 만나고, 그들 무리와 어울리며 친구들과는 소원해진다.

때마침 ‘사춘기 경고등’이 켜진 라일리의 감정 본부에서 일하는 감정들도 큰 혼란을 겪는다. 낯선 감정인 ‘불안’, ‘당황’, ‘부러움’, ‘따분’이 본부에 들어오고, 항상 최악의 상황을 대비하는 ‘불안’과 기존 감정들은 계속 충돌한다. 결국 쫓겨난 기존 감정들은 본부로 다시 돌아가기 위한 모험을 시작한다.

전편과 마찬가지로 라일리가 가족, 친구, 하키 선수들과 마주하는 현실 세계, 그리고 감정들이 라일리를 조정하는 머릿속 세계를 번갈아 보여 준다. 라일리가 사춘기를 맞으면서 감정도 다양해지고 이야기도 더 복잡해졌지만 영화는 2개의 세계를 역동적으로 맞물려 놓았다.

연출을 맡은 켈시 만 감독은 10대 사춘기 아이들의 감정을 사실적으로 그리기 위해 전편에서 자문을 맡았던 버클리대 다처 켈트너 심리학 박사와 워크숍을 진행하고 10대 소녀들로 구성된 자문단을 정기적으로 만나며 공감 가득한 이야기를 만들었다.

확장된 머릿속 세상의 볼거리도 늘어났다. 핵심 기억을 바탕으로 만든 전편의 ‘섬’에 이어 이번에는 신성한 느낌의 ‘신념 저장소’, 그리고 신념들이 꽃피워 낸 ‘자아’라는 설정 등이 나온다. 나쁘게만 여겨지는 감정인 ‘불안’이 아이를 성장시키는 동력이 되고 반대로 힘들게 몰아간다든가, 잊고 싶은 창피한 기억들 역시 자아를 생성하는 데 이바지한다는 내용 등은 충분히 공감할 만하다.

쫓겨난 감정들이 잃어버린 자아를 찾아 다시 본부로 돌아오는 모험은 손에 땀을 쥐게 한다. 화려한 비주얼과 역동적인 액션은 전편에서 한발 더 나아갔다.

이야기 중간중간 넣은 재치 넘치는 장면도 눈길을 끈다. 성장해서 돌아보니 창피한 것들을 모은 ‘비밀금고’, 강처럼 흐르는 ‘의식의 흐름’, 직업에 대한 고민이 담긴 ‘장래 희망 퍼레이드’, 여러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브레인스톰’ 등의 탁월한 표현에는 박수가 절로 나올 정도다. 전편을 재밌게 봤던 관객이라면 이번 편 역시 즐겁게 볼 수 있을 터다. 사춘기 자녀를 둔 가족이라면 더할 듯하다. 96분. 전체 관람가.
김기중 기자
2024-06-13 2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