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적 살던 동네가 변한 게 아니라 그것을 보는 내 관점이 달라진 거죠”

“어릴 적 살던 동네가 변한 게 아니라 그것을 보는 내 관점이 달라진 거죠”

입력 2014-02-11 00:00
수정 2014-02-11 03: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구현모 새달 7일까지 ‘사직동’ 전

동네마다 주는 익숙함과 기울기란 무엇일까.

이미지 확대
구현모 설치작가
구현모 설치작가
설치작가 구현모(40)는 어린 시절 자신이 살던 서울 종로구 사직동의 기억을 되살려 마련한 ‘사직동’전에서 이 같은 물음에 답하고 있다. 그는 “동네마다 고유의 기울기가 있다”는 주장을 전시에서 펼쳐 놓는다. “집은 사람이 태어나 접하는 가장 익숙한 공간이자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공간으로, 하다못해 창문의 크기와 높이까지도 알게 모르게 개인의 성장에 영향을 준다”는 게 작가의 주장이다. 작품에는 나무와 철, 알루미늄이 사용됐고 동네의 모습이 담긴 영상이 분위기를 돋운다.

지난 6일 종로구 안국동 PKM갤러리에서 마주한 작가는 “초등학교 시절 살던 사직동에 가 봤는데 25년 만에 다시 본 동네는 예전의 기억과 많이 달랐다”며 “동네나 기억이 변한 게 아니라 관찰자의 관점이 바뀌었기 때문이란 사실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작품은 어느 쪽이 실제 사직동의 모습이냐는 존재론적 질문에서 출발한다. 세상은 늘 객관적으로 존재하지만 그것을 해석하는 정보는 주관적이란 까닭에서다. 이어 아이가 자라면서 활동 공간이 점차 넓어지듯 작가의 관심도 집을 떠나 동네로 확장된다. 2000년대 중반부터 집에 주목해 온 작가의 관심도 이번 전시에서 이처럼 넓어졌다.

전시장 1층에 설치된 작품 ‘지붕’은 보는 장소에 따라 지붕이 되기도 하고, 바닥이 되기도 한다. 건물의 1층 바닥이 보도보다 더 낮아 바깥에서 안을 들여다보면 작품의 지붕은 바닥과 잇닿아 있는 듯하다. 유리창 속에서 서서히 잔잔하게 흔들리는 이 ‘지붕’은 차라리 흔들리는 집이란 표현이 딱 들어맞는다. 마치 메트로놈의 리듬에 맞춰 알루미늄 다리와 나무로 만든 평평한 지붕이 끝도 없이 흔들리는 듯하다.

“전시장 밖 경사진 골목길에 기울기가 있듯 동네마다 고유의 기울기가 있어요. 작품에서 바닥이 지붕이 될 수 있고, 지붕이 바닥이 될 수 있다는 모호함을 드러내고 싶었습니다.”

대학에서 도예를 전공한 작가는 독일에서 10여년간 활동하다 몇 년 전 귀국했다. 해외 생활 중 이리저리 떠밀려 이사하던 기억에서 착안해 유년기를 보낸 집에 초점을 맞췄다.

전시에선 ‘지붕’ 외에 ‘고광나무’, ‘동네’ 등의 작품도 등장한다. 나무와 알루미늄 등의 물성을 극대화하거나 동네의 모습을 영상에 담는 식이다. 그는 “어릴 적 집에서 처음 느낀 창문의 크기나 방향 등은 내가 처음 접한 우주였다”고 고백했다. 전시는 다음 달 7일까지.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2-1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애도기간 중 연예인들의 SNS 활동 어떻게 생각하나요?
제주항공 참사로 179명의 승객이 사망한 가운데 정부는 지난 1월 4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지정했습니다. 해당기간에 자신의 SNS에 근황사진 등을 올린 일부 연예인들이 애도기간에 맞지 않는 경솔한 행동이라고 대중의 지탄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애도기간에 이런 행동은 경솔하다고 생각한다.
표현의 자유고 애도를 강요하는 것은 안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