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문화재 복원의 현실은
#1. 경북 경주시 토함산 기슭. 석굴암(국보 제24호)으로 향하는 길에는 수십점의 돌조각이 널브러져 있다. ‘감실 천정석’, ‘간석’ 등의 이름표가 달린 조각들은 1960년대 문화재관리국이 행한 보수공사 이후 여태껏 제자리를 찾지 못한 것들이다. 신라 경덕왕 10년(751년)에 창건돼 1200여년간 세월의 무게를 견뎌 왔으나 안식처조차 얻지 못한 셈이다. 경주국립박물관 뒤뜰의 다양한 석재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옛 석탑들의 기단부와 탑신부, 상륜부와 옛 주거지의 주춧돌 등 석재 수백점이 어지럽게 널려 있다.#2. 경주시 교동의 월정교(사적 제 457호). 230여억원의 예산을 들여 2012년 1차 복원을 마쳤다. 경주시의 주도로 길이 70여m, 높이 10여m 규모로 복원된 다리는 내년 초 양쪽 문루 건립을 끝으로 완공된다. 밤마다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에 아름답게 물들지만 정작 다리 자체는 상상의 산물이다. 국내 문화재 관계자는 “삼국사기에 기록이 전하지만 지붕이 있었다는 것 외에 세부적인 모습은 확인할 수 없다”면서 “중국 등 아시아 국가의 교량구조를 참고해 다리를 새롭게 만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리 복원은 오는 2035년까지 3조 3500여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경주의 문화재 보존정비 및 관광산업활성화 사업의 시험 무대였다. 황룡사 복원, 경주역사박물관 건립 등 대규모 사업들을 위한 전초전 성격이 강하다. 결국 벌써부터 지나치게 크고 균형을 잃었다는 비판을 듣고 있다.
경주 토함산 기슭에 놓인 석굴암의 옛 석재들.
경주시 교동의 월정교 야경. 화려한 모습을 뽐내고 있으나 정확한 모습을 담은 옛 기록이 없어 역사적 상상력에 의존해 복원했다.
창작이나 다름없는 복원 사례는 곳곳에 있다. 충남 부여의 백제 재현단지에는 일본식 탑과 중국식 건물이 즐비하다. 백제 건축물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탓이다.
기록이 남아 있더라도 부실 복원이 이뤄진 사례도 있다. 경기 수원의 화성행궁 내 봉수당(奉壽堂)은 처마 끝이 인접한 건물의 기와지붕과 잇닿아 있다. 정조의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치른 역사적인 건물이지만 1997년 복원 때 세부적 밑그림을 그리는 데 실패했기 때문이다.
해법은 무엇일까. 김충배 경기도 문화재 전문위원은 “건축학자 외에 역사학자, 고전문헌 전공자들의 학제 간 연구와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토니오 굴리에 이탈리아 국립복원학교(SCUOLA) 교수는 “문화재의 성격을 먼저 파악하고 훼손된 부분을 치유하려는 장인정신이 강조돼야 한다”며 “각국이 처한 상황에 따라 융통성 있는 복원 계획과 개념을 재정립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프랑스 최고 건축상(폴 메이몽상) 수상자이자 문화재 전문가인 백희성씨는 “문화재 복원 과정에서 개입 정도를 놓고 다양한 기준이 존재하는 유럽에서는 다양한 실험과 연구가 행해져 왔다. 한국도 진일보한 시도를 벌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글 사진 경주·수원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12-0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