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도 맞아서 얼굴이 퉁퉁 부은 중년 남자가 차에서 내려 죽기 살기로 뛰어간다. 쫓아가는 두 명의 남자는 조직폭력배다. 이윽고 세 사람이 엎치락뒤치락 밀고 당기자 이를 바라보던 다른 남자가 한심한 듯 내뱉는다.“아름답다, 아름다워∼” 이 남자의 이름은 강인구. 직업은 조직폭력배 중간 보스다. 평범하지 못한 직업만 빼면 대한민국의 여느 평범한 40대 가장과 똑같다. 그는 이 강렬한 한마디로 영화 ‘우아한 세계’의 문을 연다.
●맞춤 양복 같은 딱 맞는 연기
‘우아한 세계’는 인구가 처한 전혀 우아하지 못한 현실에 대한 반어법이다. 인구 역을 맡아 기대를 무너뜨리지 않은 송강호는 이 장면에서 손가락을 치켜세웠다.
“우리 영화의 본질을 상징적·우회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죠.”
원래 대사는 “지랄한다, 지랄을 해.”였다.“아름답다, 아름다워∼”는 대본 연습을 하던 중 즉흥적으로 튀어나왔다고 했다. 머리를 싸매고 연구하지 않는다고 했지만 ‘감’으로 끌어올린 이 한마디는 영화의 핵심을 정확히 꿰뚫는 것이 됐다.
역시 고수는 뭔가 달라도 다르다.
뭔가 하려고 애쓰는 것 같지 않은데 예술이 되고 명품이 된다. 그의 전작들을 통해서도 충분하게 입증됐지만 송강호는 이번 작품에서도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관객들을 감싸 안는다.
딱 맞는 옷을 입은 듯한 연기로 “역시!”라는 감탄이 아깝잖다.
“강인구는 이전에 했던 ‘성격이 분명한 아버지’들과 좀 달라요. 편하고 생활적인 느낌이 강한 역할이죠. 편하고 놀 듯이 연기하는 것이 오히려 쉬울 것 같지만 아닙니다. 오히려 일상적인 연기가 에너지를 더 많이 필요로 해요. 굵직한 사건이 이어지고 강한 캐릭터가 일관되게 나오면 그거 보는 맛에 가지만 우리 영화는 그런 점에서 빈 공간이 많습니다. 그 빈 공간을 채워야 했기 때문에 무척 힘들었죠.”
‘연애의 목적’으로 호평을 받았던 한재림 감독은 이번 작품에서 40대 조폭 가장의 애환을 통해 우리의 현실을 되돌아보게 만든다.
처자식 먹여 살린다고 죽어라 일만 했는데 가족들 사이에서 인구는 ‘왕따’다. 사춘기 딸은 일기장에 ‘다른 조폭들은 총에 맞아 픽픽 잘도 죽는데…왜 죽지도 않나.’라고 쓰고, 아내는 더이상 못참겠다며 이혼을 요구한다. 깡패짓은 쉽나. 그도 이제 뒤에서 칼 맞을까 두려워하는 나이가 됐다. 가족들 성화도 있고 큰 건 하나만 해서 발을 빼려고 하는데 인생 참 뜻대로 돌아가지 않는다.
●이 시대 가장들의 서글픈 모습
결국 ‘기러기 아빠’가 돼 홀로 집에 남게 된 그가 울먹인다.
“내가 뭘 그렇게 잘못했다고….” 자신의 처지에 열받아 홧김에 라면 그릇을 집어던지고는 속옷 차림으로 그걸 다시 치우는 인구. 그 코믹한 상황 뒤로 이 시대 가장들의 모습이 서글프게 겹쳐진다.
그래서 영화는 조폭이 나오지만 화려한 액션 활극이 아니고, 아버지가 나오지만 훈훈한 가족드라마도 아니다.
장르가 불분명하다는 건 그만큼 리스크가 크다는 것이다.
그는 “이 영화가 어떤 분들에게는 밋밋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장르가 강한 영화를 기대했던 분들은 섭섭하게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조심스러워한다.
“하지만 작품은 수준과 격조 있게 빠졌다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눈물·웃음·현란한 액션에 초점을 맞춘 영화라면 관객 입장에서는 후련했겠지만 우리 영화로 볼 때 그건 한계죠. 그렇게 하지 않은 것이 이 영화의 미덕입니다.” 한재림 감독에 대해 묻자 “능구렁이예요.”라고 바로 나온다.
“나이가 8살이나 어리지만 작업 하는 데 있어서 내공이 깊어요. 닳고 닳은 소재인 조폭과 아버지에서 새로운 것을 뽑아내는 것 보세요.”
‘낡은 것에서 뽑아내는 새로움’은 그가 작품을 하는 기준에도 부합된다.“이번엔 액션 했으니까 다음엔 멜로 하는 식으로 영화를 하진 않죠. 하지만 새로운 연기를 보여야겠다는 강한 부담감을 항상 가지고 있습니다.”
송강호는 4월 ‘우아한 세계’에 이어 5월엔 ‘밀양’으로 다시 관객을 찾는다.
“보통 1년에 한 편꼴로 하는데 이런 경우는 처음”이라며 머쓱해한다. 촬영기간이 한 달반이 겹쳐 “코피 터졌다.”며 그래도 전혀 다른 캐릭터라 관객들이 보기에 아무 부담이 없을 것이라고 자신한다.
비수기 한국 영화계를 책임져야 하는 그의 어깨가 무겁다.
“아∼, 우리 영화가 좀 터져줘야 되는데 말이야….(웃음)”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사진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우아한 세계’는 인구가 처한 전혀 우아하지 못한 현실에 대한 반어법이다. 인구 역을 맡아 기대를 무너뜨리지 않은 송강호는 이 장면에서 손가락을 치켜세웠다.
“우리 영화의 본질을 상징적·우회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죠.”
원래 대사는 “지랄한다, 지랄을 해.”였다.“아름답다, 아름다워∼”는 대본 연습을 하던 중 즉흥적으로 튀어나왔다고 했다. 머리를 싸매고 연구하지 않는다고 했지만 ‘감’으로 끌어올린 이 한마디는 영화의 핵심을 정확히 꿰뚫는 것이 됐다.
역시 고수는 뭔가 달라도 다르다.
뭔가 하려고 애쓰는 것 같지 않은데 예술이 되고 명품이 된다. 그의 전작들을 통해서도 충분하게 입증됐지만 송강호는 이번 작품에서도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관객들을 감싸 안는다.
딱 맞는 옷을 입은 듯한 연기로 “역시!”라는 감탄이 아깝잖다.
“강인구는 이전에 했던 ‘성격이 분명한 아버지’들과 좀 달라요. 편하고 생활적인 느낌이 강한 역할이죠. 편하고 놀 듯이 연기하는 것이 오히려 쉬울 것 같지만 아닙니다. 오히려 일상적인 연기가 에너지를 더 많이 필요로 해요. 굵직한 사건이 이어지고 강한 캐릭터가 일관되게 나오면 그거 보는 맛에 가지만 우리 영화는 그런 점에서 빈 공간이 많습니다. 그 빈 공간을 채워야 했기 때문에 무척 힘들었죠.”
‘연애의 목적’으로 호평을 받았던 한재림 감독은 이번 작품에서 40대 조폭 가장의 애환을 통해 우리의 현실을 되돌아보게 만든다.
처자식 먹여 살린다고 죽어라 일만 했는데 가족들 사이에서 인구는 ‘왕따’다. 사춘기 딸은 일기장에 ‘다른 조폭들은 총에 맞아 픽픽 잘도 죽는데…왜 죽지도 않나.’라고 쓰고, 아내는 더이상 못참겠다며 이혼을 요구한다. 깡패짓은 쉽나. 그도 이제 뒤에서 칼 맞을까 두려워하는 나이가 됐다. 가족들 성화도 있고 큰 건 하나만 해서 발을 빼려고 하는데 인생 참 뜻대로 돌아가지 않는다.
●이 시대 가장들의 서글픈 모습
결국 ‘기러기 아빠’가 돼 홀로 집에 남게 된 그가 울먹인다.
“내가 뭘 그렇게 잘못했다고….” 자신의 처지에 열받아 홧김에 라면 그릇을 집어던지고는 속옷 차림으로 그걸 다시 치우는 인구. 그 코믹한 상황 뒤로 이 시대 가장들의 모습이 서글프게 겹쳐진다.
그래서 영화는 조폭이 나오지만 화려한 액션 활극이 아니고, 아버지가 나오지만 훈훈한 가족드라마도 아니다.
장르가 불분명하다는 건 그만큼 리스크가 크다는 것이다.
그는 “이 영화가 어떤 분들에게는 밋밋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장르가 강한 영화를 기대했던 분들은 섭섭하게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조심스러워한다.
“하지만 작품은 수준과 격조 있게 빠졌다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눈물·웃음·현란한 액션에 초점을 맞춘 영화라면 관객 입장에서는 후련했겠지만 우리 영화로 볼 때 그건 한계죠. 그렇게 하지 않은 것이 이 영화의 미덕입니다.” 한재림 감독에 대해 묻자 “능구렁이예요.”라고 바로 나온다.
“나이가 8살이나 어리지만 작업 하는 데 있어서 내공이 깊어요. 닳고 닳은 소재인 조폭과 아버지에서 새로운 것을 뽑아내는 것 보세요.”
‘낡은 것에서 뽑아내는 새로움’은 그가 작품을 하는 기준에도 부합된다.“이번엔 액션 했으니까 다음엔 멜로 하는 식으로 영화를 하진 않죠. 하지만 새로운 연기를 보여야겠다는 강한 부담감을 항상 가지고 있습니다.”
송강호는 4월 ‘우아한 세계’에 이어 5월엔 ‘밀양’으로 다시 관객을 찾는다.
“보통 1년에 한 편꼴로 하는데 이런 경우는 처음”이라며 머쓱해한다. 촬영기간이 한 달반이 겹쳐 “코피 터졌다.”며 그래도 전혀 다른 캐릭터라 관객들이 보기에 아무 부담이 없을 것이라고 자신한다.
비수기 한국 영화계를 책임져야 하는 그의 어깨가 무겁다.
“아∼, 우리 영화가 좀 터져줘야 되는데 말이야….(웃음)”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사진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2007-03-30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