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방송된 KBS 1TV 시사프로그램 ‘시사직격’에 출연했던 나카노 아키라 아사히신문 전 논설위원.
5일 일본 아사히신문의 사설 여적 코너에는 나카노 아키라 전 논설위원이 쓴 ‘비석의 최씨가 말하는 것’이란 제목의 칼럼이 실렸다. 서울특파원 출신의 나카노 전 논설위원은 지금은 아사히신문 다카마쓰총국에서 부국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방송됐던 KBS 1TV 시사프로그램 ‘시사직격’의 ‘한일 특파원의 대화’편에 출연하기도 했다.
그는 구마모토현 히토요시시에 있는 JR히사쓰선 오코바역이라는 작은 역사 근처에 세워진 위령비에 다녀온 자신의 경험으로 글을 시작했다. 이 위령비는 1900년대 초 이곳에서 이뤄졌던 철도공사 중 사고, 질병 등으로 숨진 사람들을 기리기 위한 것으로, 이 구간 공사를 담당했던 ‘아자마구미’라는 하청업체가 1908년 세웠다.
칼럼은 “이 비에 새겨진 14명의 희생자 중에 ‘한국 경기도 남양군 신시가지 최길남 31세’라고 적힌 조선인의 이름이 있다”고 소개했다. 나카노 부국장은 “최(길남)씨가 어떤 사연으로 바다를 건너왔는지는 모르지만 비석은 1910년의 ‘한국병합’ 이전부터 조선인들이 일본에서 가혹한 노동을 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며 “당시 신문에는 이 철도공사 현장에 수백명의 조선인이 있었다는 기술이 있다”고 전했다.
그는 “조선인은 메이지 시대 때부터 값싼 노동력으로 가혹한 노동현장에 투입돼 일본의 근대화를 떠받쳤다”는 한국인 징용노동자 후손의 말을 인용했다. 이어 “태평양전쟁 중 동원된 조선인 희생자를 추도하는 비석은 대부분 전후에 동포들에 의해 세워진 것이고 그들을 혹사한 (일본) 사업자들이 만든 것은 드물다”며 “이국에서 당한 억울한 죽음을 애도하며 그러한 희생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한 기억과 계승에 노력한 일본 기업이 얼마나 될 것인가“라고 물었다.
그는 “최씨는 비석을 통해 흔적이 남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얼마나 많은 죽음들이 잊혀졌겠느냐”며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역사는 그대로 사라져간다”고 칼럼을 맺었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