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시아 최빈국으로 꼽히는 라오스는 댐 건설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자국 내에 39개의 수력발전소를 이미 건설했고 현재 추가로 53개의 발전소를 짓거나 건설 계획을 세워 둔 상황이다.
BBC는 24일 라오스가 댐 건설에 주력하는 이유는 메콩강과 지류가 자국 내 흐르는 자연적 이점을 활용해 전기를 주력 수출 상품으로 내세우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라오스 정부는 그동안 ‘아시아의 배터리’ 역할을 하겠다는 포부를 밝혀 왔다. 라오스는 그동안 해외로부터 받은 원조로 댐을 건설하고 전기를 생산해 인접 국가인 태국에 수출하는 방식으로 큰 수익을 거뒀다. 현재 라오스 수출액의 30%가 전기 판매를 통해 얻고 있다.
현지 환경단체들의 반대도 극심했다. 라오스 정부가 환경영향 평가 없이 마구잡이로 건설하고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현지에서 ‘세피안·세남노이’ 수력발전 프로젝트도 반환경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2013년 국회 기획재정부 국정감사에서도 유상원조(EDCF) 중 하나인 이 사업에 대한 환경영향 평가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제기됐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BBC는 24일 라오스가 댐 건설에 주력하는 이유는 메콩강과 지류가 자국 내 흐르는 자연적 이점을 활용해 전기를 주력 수출 상품으로 내세우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라오스 정부는 그동안 ‘아시아의 배터리’ 역할을 하겠다는 포부를 밝혀 왔다. 라오스는 그동안 해외로부터 받은 원조로 댐을 건설하고 전기를 생산해 인접 국가인 태국에 수출하는 방식으로 큰 수익을 거뒀다. 현재 라오스 수출액의 30%가 전기 판매를 통해 얻고 있다.
현지 환경단체들의 반대도 극심했다. 라오스 정부가 환경영향 평가 없이 마구잡이로 건설하고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현지에서 ‘세피안·세남노이’ 수력발전 프로젝트도 반환경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2013년 국회 기획재정부 국정감사에서도 유상원조(EDCF) 중 하나인 이 사업에 대한 환경영향 평가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제기됐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8-07-25 3면